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015
한자 義峴祠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로 234-32[검단동 132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81년연표보기 - 의현사 건립
현 소재지 의현사 -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로 234-32[검단동 1325]지도보기
원소재지 의현사 -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로 234-32[검단동 1325]
성격 사당
양식 목조 기와집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인천채씨 대종회
관리자 인천채씨 대종회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에 있는 고려 후기 대구 출신 문신 채귀하를 제향하는 사당.

[개설]

의현사(義峴祠)는 고려 말 대구에서 출생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호조전서(戶曹典書)를 역임한 다의당(多義堂) 채귀하(蔡貴河)[?~?]를 제향하는 사당이다. 채귀하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등과 교유하였다. 고려의 사직이 다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의를 지켰다. 후에 황해도 평산 다의현(多義峴)에 들어가 은거하다 타계하였다.

채귀하는 「다의현에서 송경을 바라보며 느낌이 있어[多義峴望松京有感]」라는 시에서 “종일 산속 집 사립문을 닫아 놓고, 멀리 송악을 바라보니 저문 구름 어둡구나. 가을바람에 고국 궁전이 기장 밭이 된 느낌이 들어, 외로운 옛 신하 눈물만 떨어지네[盡日山廬竹戶扃, 遙看松嶽暮雲冥. 秋風故國黍離感, 自古孤臣涕淚零]”라고 노래하였다. 「다의현에서 송경을 바라보며 느낌이 있어」는 기자(箕子)가 은(殷)나라 옛터를 지나다가 궁궐은 무너지고 보리 이삭이 무성한 것을 보고 탄식하며 읊었다는 ‘맥수가(麥秀歌)’를 연상케 하는 시이다. 채귀하는 아들에게 주는 편지에서 “내가 정몽주와 일찍이 이웃 고을에 살며 어릴 때부터 교유하였다. 과거에 합격하여 같은 조정에서 함께 벼슬하였는데 국운이 다하여 정몽주가 먼저 순절하니 슬프다. 나라가 깨어지고 임금이 없으니 내가 어찌 고향으로 돌아가리오. 영(泳)[장자(長子)]은 고향으로 돌아가 선조의 제사를 잘 받들라”라고 하였다.

[위치]

의현사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금호강왕옥산(王屋山)에 있다.

[변천]

의현사는 원래 황해도 다의현에 있었다. 1824년(순조 24)에 대구 북구 왕옥산 압로정(狎鷺亭) 서쪽에 서산서원(西山書院)을 건립하여 제향을 하였다. 서산서원은 한때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45년 광복 후 남북이 분단되어 자손들이 제향을 드릴 수 없게 되자 인천채씨 대종회에서 1981년 왕옥산 중턱에 의현사(義峴祠)를 건립하고 제향을 하고 있다.

[형태]

의현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목조 기와집이다.

[현황]

의현사는 관리 상태가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의현사는 고려와 조선의 교체기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의(節義) 정신을 볼 수 있는 ‘두문동 72현’의 유적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