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492
한자 慕先堂
영어공식명칭 Moseondang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남로 203-36[서변동 12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81년 3월연표보기 - 모선당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2014년 - 모선당 중수
현 소재지 모선당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남로 203-36[서변동 1271]지도보기
성격 재실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능성 구씨 대구경북종회
관리자 능성 구씨 대구경북종회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능성구씨 재실.

[개설]

모선당(慕先堂)능성구씨(綾城具氏) 고려조 조상 3인의 묘소가 북한 지역인 경기도 개성에 있어 성묘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1981년에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창포산에 모셔 와 1981년 건립하였다. ‘모선당’이라는 이름은 개성의 산소에 있던 모선재(慕先齋)에서 유래하였다.

고려조 세 조상은 5세(世) 구영검(具榮儉), 6세(世) 구위(具褘), 7세(世) 구홍(具鴻)이다. 구영검은 공민왕 때 전리판서(典理判書)를 지낸 면성군(沔城君)이고, 구위는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소부윤(小府尹)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구홍은 우왕 때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을 지낸 면성부원군이고 호는 송은(松隱), 시호는 문절(文節)이며, 고려의 사직이 다하자 두문동으로 들어가 절의를 지킨 ‘두문동 72현(賢)’ 중 한 명이다. 후손들이 구홍의 유문과 관련 기록을 모아 『송은선생실기(松隱先生實紀)』를 펴냈다. 모선당 주련(柱聯)에는 구홍의 「술회시(述懷詩)」가 걸려 있다.

[위치]

모선당은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남로 203-36[서변동 1271]에 있다.

[변천]

모선당은 1981년 3월 건립비와 함께 세워졌다. 1984년 재실 앞 광장에 구영검, 구위, 구홍의 추모비를 건립하였다. 2014년에 중수하고 2017년에 중수기문(重修記問)을 편액하고 주련(柱聯)을 달았다.

[형태]

모선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팔작지붕의 형태이다.

[현황]

모선당은 관리 상태가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모선당은 숭조애종(崇祖愛宗) 정신을 엿볼 수 있는 재실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