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서봉사지 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653
한자 潭陽瑞峰寺址浮屠
영어공식명칭 Stupa of Seobongsa Temple Site, Damyang
이칭/별칭 전 서봉사지 부도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염승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987년 - 담양 서봉사지 부도 이전
복원 시기/일시 1969년 - 담양 서봉사지 부도 복원
현 소재지 전남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부도
재질 석재
크기(높이) 약 2m[높이]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전남대학교 대강당 앞에 있는 조선 전기 부도.

[개설]

담양 서봉사지 부도(潭陽瑞峰寺址浮屠)는 조선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종형(石鐘形) 부도이다. 담양 서봉사지 부도는 원래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정곡리 584-4에 있었다. 도굴범들에 의해 반출되려던 것을 1969년 전남대학교박물관 앞뜰에 옮겨 복원하였다. 이후 1987년 옛 전남대학교박물관 앞뜰이 전남대학교 제2도서관 부지로 결정됨에 따라 전남대학교 대강당 앞 담양 서봉사지 석탑(潭陽瑞峰寺址石塔) 뒤로 옮겨졌다.

[위치]

전남대학교 대강당 앞 잔디밭에 있다.

[형태]

담양 서봉사지 부도는 높이 약 2m의 석종형 부도이다. 기단부는 지대석(地臺石), 하대석(下臺石), 간략화된 중대석(中臺石), 상대석(上臺石)으로 구성되었다.

지대석과 하대석, 중대석은 한 돌로 이루어졌다. 지대석은 방형이다. 하대석은 원형으로 8엽의 겹꽃잎 복련(覆蓮)과 복련 사이에 꽃술형의 간판(間瓣)이 새겨져 있다. 중대석은 8각으로 각 면에 퇴화된 안상(眼象)을 새겼다. 상대석은 상면이 약간 경사진 반원구형이다. 상대석은 8엽의 홑꽃잎 앙련(仰蓮)을 8각처럼 둘렀으며, 사이에 앙련과 거의 비슷한 꽃술형의 간판이 새겨져 있고, 그 사이에 또다시 연봉형(連峰形)의 조식(彫飾)을 새겼다. 상면의 경사진 면에는 하대석과 흡사한 형식의 복련과 간판이 새겨져 있다. 상대석 하면에는 위쪽으로 뚫린 원형의 구멍이 있는데, 이는 사리공(舍利孔)으로 생각된다.

석종형 탑신은 그 위의 버섯 형태의 보주(彫飾)와 한 돌로 이루어졌다.

[특징 및 평가]

석종형 부도는 고려 후기부터 살펴볼 수 있으며, 조선 후기에 주류를 이룬 부도이다. 담양 서봉사지 부도는 기단부의 조각이 퇴화된 수법을 보이며, 탑신부와 상륜부가 단순하다는 점을 살펴봤을 때 조선 전기보다는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담양 서봉사지 곳곳에 주초석(柱礎石), 옥개석(屋蓋石), 석등의 부재, 당간지주(幢竿支柱) 편(片) 등이 남아 있다. 서봉사지에서는 1964년 금동불입상 2구와 니불(泥佛) 등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현재 행방을 알 수 없다. 담양 서봉사지 석탑담양 서봉사지 부도전남대학교로 옮겨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