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475
한자 慶山慈仁-桂亭-碑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계정길 80[서부리 72-1임]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창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87년연표보기 - 통정대부부윤이영공현배인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706년 5월연표보기 - 현감변후유애민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738년 3월연표보기 - 현감송후수현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792년 6월연표보기 - 현감임후선백영세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799년 12월연표보기 - 현감강후휘옥애민청덕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16년 9월연표보기 - 순상국김공휘노응거폐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16년 9월연표보기 - 수의사김공휘학순거폐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16년 12월연표보기 - 가선박일흥정배인공궤거폐비·절충최시동봉적시연역견감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34년 3월연표보기 - 한량이이손동유공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36년 3월연표보기 - 동지류붕서영세거막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42년 8월연표보기 - 황처사학유공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44년연표보기 - 현감권후휘규용애민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47년 3월연표보기 - 현감박후규현청덕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47년 6월연표보기 - 현감박후휘규현청덕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64년 3월연표보기 - 현감조후휘익증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69년 5월연표보기 - 현감김후휘사익청덕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71년 3월연표보기 - 현감류후휘도석영세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72년 2월연표보기 - 순상국김공휘세호영세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74년 3월연표보기 - 현감허후휘직영세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77년 2월연표보기 - 현감정후휘원기애민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2년 4월 - 현감남후학희…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4년 11월연표보기 - 순상국조공강하선정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8년 12월연표보기 - 현감오후횡묵휼민거폐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9년연표보기 - 현감이후휘종덕청백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92년 3월연표보기 - 현감이후정재청덕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93년 3월연표보기 - 현감조후휘원식청덕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98년 2월연표보기 - 군수조후휘유승애민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02년 2월연표보기 - 현감이후적의이금휼민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03년 4월연표보기 - 군수이후휘인긍영세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36년 3월연표보기 - 영릉참봉김공병하송덕비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70년경 - 경산시 자인면 내의 선정비 및 공덕비를 경산자인의계정숲으로 이전
현 소재지 경산자인의계정숲 비석군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계정길 80[서부리 72-1임]지도보기
성격 선정비|공덕비
관련 인물 이현배|임선백|변유|이적의|송수현|강휘옥|김노응|김학순|허형|권규용|박규현|이종덕|조익증|김사익|류도석|김세호|허직|정원기|남학희|조강하|오횡묵|이정재|조원식|조유승|이인긍|박일흥|이이손|류붕서|황학|김병하
재질 석재
소유자 경산시
관리자 경산시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서부리 경산자인의계정숲 내에 있는 조선 시대부터 개항기까지의 선정비 및 공덕비군.

[개설]

경산자인의계정숲 비석군은 조선 시대부터 개항기까지 경상도관찰사·경주부윤·자인현감·자인군수 등을 지낸 관료 혹은 지역 인물에 대한 총 31기의 선정비 및 공덕비로 구성되어 있다. 선정비는 해당 고을을 통치한 지방관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지방민들이 세우는 것으로, 불망비(不忘碑)·휼민비(恤民碑)·인정비(仁政碑)·애민비(愛民碑) 등으로도 불린다. 현재 경산자인의계정숲에 남아 있는 비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587년(선조 20)에 세운 통정대부부윤이영공현배인정비(通政大夫府尹李令公玄培仁政碑)이다.

[건립 경위]

경산자인의계정숲에 위치한 비석들은 크게 지방관의 공적과 은혜를 기린 선정비와 자인 출신 인사의 공적을 기린 공덕비로 구분된다. 선정비는 모두 26기로 옛 자인현(慈仁縣)·자인군(慈仁郡) 사람들에 의해 세워졌다. 선정비를 대상별로 구분하면 자인현감(慈仁縣監) 19기, 자인군수(慈仁郡守) 2기,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3기, 경상도암행어사(慶尙道暗行御史) 1기, 경주부윤(慶州府尹) 1기이다. 자인현이 1637년(인조 15) 복현(復縣)되기 전까지 경주부의 속현이었던 관계로 경주부윤의 선정비도 남아 있다. 나머지 5기는 자인 지역과 관련된 사람들의 공덕비이다. 원래 비석들은 자인면 곳곳에 흩어져 있었는데, 1970년경 지금의 위치로 옮겨 왔다.

[위치]

경산자인의계정숲 비석군경산자인의계정숲 입구 왼편에 있다.

[형태와 금석문]

1. 통정대부부윤이영공현배인정비(通政大夫府尹李令公玄培仁政碑)

1585~1586년에 경주부윤으로 재임한 이현배(李玄培)의 선정비로 1587년(선조 20)에 건립하였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1㎝, 너비 96㎝, 두께 53㎝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8㎝, 너비 58㎝, 두께 15.5㎝이다. ‘만력십오년정해계동(萬曆十五年丁亥季冬)’에 세워졌다고 새겨져 있어 만력비(萬曆碑)라고도 부른다.

2. 현감임후선백영세불망비(縣監任侯善伯永世不忘碑)

1637~1642년에 초대 자인현감으로 재임한 임선백(任善伯)을 기리는 선정비이다. 선정비 건립 후 두 차례 훼손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의 비는 1792년(정조 16) 6월에 건립한 것이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9.5㎝, 너비 69㎝, 두께 45㎝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04㎝, 너비 48.5㎝, 두께 20㎝이다.

3. 현감변후유애민선정비(縣監邊侯攸愛民善政碑)

1702~1706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변유(邊攸)를 기리는 선정비로 1706년(숙종 32) 5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변유의 덕행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7.5㎝, 너비 60㎝, 두께 40㎝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90㎝, 너비 37.5㎝, 두께 16㎝이다.

4. 현감이후적의이금휼민비(縣監李侯適意弛禁恤民碑)

1706~1711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이적의(李適意)의 선정비로 1711년(숙종 37)에 처음 건립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비는 이적의의 9세손으로 경산현령을 지낸 이주필(李周弼) 등이 1902년(광무 6) 2월에 중수(重修)한 것이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8㎝, 너비 71㎝, 두께 45.5㎝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08㎝, 너비 51㎝, 두께 25㎝이다. 비신의 일부가 박락되어 있다.

5. 현감송후수현선정비(縣監宋侯秀賢善政碑)

1736~1739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송수현(宋秀賢)의 선정비로 1738년(영조 14) 3월 건립하였다. 비석 뒷면에는 관개 수로를 정비하여 농사에 도움을 준 공적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9.5㎝, 너비 61㎝, 두께 35.5㎝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86㎝, 너비 39㎝, 두께 10㎝이다.

6. 현감강후휘옥애민청덕선정비(縣監姜侯彙鈺愛民淸德善政碑)

1796~1800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강휘옥(姜彙鈺)의 선정비로 1799년(정조 23) 12월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백성을 잘 교화하였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0㎝, 너비 60㎝, 두께 40㎝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75㎝, 너비 38.5㎝, 두께 13㎝이다.

7. 순상국김공휘노응거폐불망비(巡相國金公諱魯應祛弊不忘碑)

1812~1814년에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노응(金魯應)을 기리기 위해 1816년(순조 16) 9월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김노응이 자인현에 부과된 환곡(還穀)을 감면해 주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비석에는 귀부(龜趺)가 있는데, 높이 7㎝, 너비 92㎝, 두께 130㎝이다. 비신은 높이 124㎝, 너비 53㎝, 두께 23㎝, 개석은 높이 34㎝, 너비 108㎝, 두께 60㎝이다. 개석 뒤쪽 하단 일부가 파손되어 있다.

8. 수의사김공휘학순거폐불망비(繡衣使金公諱學淳祛弊不忘碑)

1813년에 경상도암행어사로 파견된 김학순(金學淳)을 기리기 위해 1816년(순조 16) 9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자인현의 환곡 폐단을 조정에 알려 근절시켜 준 김학순의 공로가 새겨져 있다. 비석의 귀부는 높이 32㎝, 너비 90㎝, 두께 133㎝이다. 비신은 높이 116㎝, 너비 49㎝, 두께 23㎝, 개석은 높이 30㎝, 너비 102㎝, 두께 59㎝이다. 개석 하단 일부가 파손되어 있다. 현재 경산 지역에 남아 있는 유일한 암행어사의 선정비이다.

9. 현감허후휘형애민선정비(縣監許侯諱珩愛民善政碑)

1813~1817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허형(許珩)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아전들의 횡포를 근절하고 송사를 잘 처리하였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0㎝, 너비 79㎝, 두께 64㎝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60㎝, 너비 74㎝, 두께 23㎝, 개석은 높이 60㎝, 너비 74㎝, 두께 23㎝이다. 비석 받침 상면과 비신 하부에는 고정을 위해 콘크리트 처리를 해 놓았다.

10. 현감권후휘규용애민선정비(縣監權侯諱奎容愛民善政碑)

1842~1844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권규용(權奎容)을 기리기 위해 1844년(헌종 10)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군역(軍役)·전결(田結)·환곡(還穀) 등 부세 문제를 잘 처리하였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8㎝, 너비 68㎝, 두께 46㎝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15㎝, 너비 41㎝, 두께 17㎝, 개석은 높이 70㎝, 너비 69㎝, 두께 29㎝이다.

11. 현감박후규현청덕선정비(縣監朴侯奎賢淸德善政碑)

1844~1846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박규현(朴奎賢)을 기리기 위해 1847년(헌종 13) 3월 동육(東六)·내촌(內村)·외촌(外村) 3개 동리에서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무명을 대신해 돈으로 세금을 내게 해 준 박후규의 공덕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20㎝, 너비 70㎝, 두께 48㎝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00㎝, 너비 45㎝, 두께 19㎝이다.

12. 현감박후휘규현청덕선정비(縣監朴侯諱奎賢淸德善政碑)

자인현감 박규현을 기리는 또 다른 선정비로 1847년 6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환곡을 잘 처리하고 고을의 교화를 이끌었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6㎝, 너비 72㎝, 두께 54㎝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11㎝, 너비 43㎝, 두께 18㎝, 개석은 높이 71㎝, 너비 83㎝, 두께 33㎝이다.

13. 현감이후휘종덕청백선정비(縣監李侯諱種德淸白善政碑)

1846~1849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이종덕(李種德)을 기리기 위해 1850년(철종 1)에 처음 건립하였다. 처음의 비는 철비(鐵碑)였으나, 1889년(고종 26) 수교(首校) 문장복(文章馥)이 석비로 다시 세웠다. 비석에는 이종덕이 청백리로 묘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재임 중 포흠(逋欠) 문제로 유배되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9㎝, 너비 60㎝, 두께 40㎝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83㎝, 너비 37㎝, 두께 14.5㎝이다.

14. 현감조후휘익증선정비(縣監趙侯諱翼增善政碑)

1861~1864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조익증(趙翼增)을 기리기 위해 1864년(고종 1) 3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부세를 감면해 주고 환곡의 폐단을 개선하였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9.5㎝, 너비 65㎝, 두께 40.5㎝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86㎝, 너비 44㎝, 두께 30㎝이다.

15. 현감김후휘사익청덕선정비(縣監金侯諱思翊淸德善政碑)

1867~1869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김사익(金思翊)을 기리기 위해 1869년(고종 6) 5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고을의 환곡 부담과 부역을 감면해 주었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2㎝, 너비 64㎝, 두께 48㎝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04㎝, 너비 41.5㎝, 두께 17㎝, 개석은 높이 53㎝, 너비 72㎝, 두께 31㎝이다.

16. 현감류후휘도석영세불망비(縣監柳侯諱道奭永世不忘碑)

1869~1872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류도석(柳道奭)을 기리기 위해 1871년(고종 8) 3월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부세 감면과 토목 공사 폐단 제거, 구휼에 대한 공적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5㎝, 너비 78㎝, 두께 67㎝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26㎝, 너비 49㎝, 두께 27㎝, 개석은 높이 54.5㎝, 너비 78㎝, 두께 35㎝이다.

17. 순상국김공휘세호영세불망비(巡相國金公諱世鎬永世不忘碑)

1869~1873년에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세호(金世鎬)를 기리기 위해 1872년(고종 9) 2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환곡 등의 부세 폐단을 잘 처리해 주었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0㎝, 너비 79㎝, 두께 58㎝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22㎝, 너비 53㎝, 두께 24㎝, 개석은 높이 58㎝, 너비 76㎝, 두께 39㎝이다.

18. 현감허후휘직영세불망비(縣監許侯諱稷永世不忘碑)

1872~1873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허직(許稷)을 기리기 위해 1874년(고종 11) 3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부세를 공정하게 하였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4㎝, 너비 78㎝, 두께 52㎝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27㎝, 너비 54㎝, 두께 22㎝, 개석은 높이 64㎝, 너비 92㎝, 두께 32㎝이다.

19. 현감정후휘원기애민선정비(縣監鄭侯諱元基愛民善政碑)

1873~1877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정원기(鄭元基)를 기리기 위해 1877년(고종 14) 2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고을의 여러 폐단을 처리하고 백성을 구휼하였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8.5㎝, 너비 95㎝, 두께 51㎝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54㎝, 너비 82㎝, 두께 27.5㎝, 개석은 높이 54㎝, 너비 82㎝, 두께 27.5㎝이다.

20. 현감남후학희…(縣監南侯學熙…)

1880~1882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남학희(南學熙)를 기리기 위해 1882년(고종 19) 4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이 파손되어 자인현감 당시 구체적인 행적은 알 수 없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0㎝, 너비 74.5㎝, 두께 40㎝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82㎝, 너비 51㎝, 두께 17㎝이다.

21. 순상국조공강하선정불망비(巡相國趙公康夏善政不忘碑)

1883~1884년에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조강하(趙康夏)를 기리기 위해 1884년(고종 21) 11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백성을 구휼한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0㎝, 너비 69㎝, 두께 48㎝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07㎝, 너비 46㎝, 두께 14㎝, 개석은 높이 25㎝, 너비 70㎝, 두께 47㎝이다. 개석 일부분이 파손되어 있다.

22. 현감오후횡묵휼민거폐불[망비](縣監吳侯宖黙恤民祛弊不□□[‘忘碑’ 두 글자가 빠짐])

1888~1889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오횡묵(吳宖黙)을 기리기 위해 1888년(고종 25) 12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호구 증대 등 여러 공적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의 크기는 높이 13㎝, 너비 77㎝, 두께 48㎝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66㎝, 너비 34㎝, 두께 10㎝이다. 비신 하단이 매몰되어 제액(題額) 중 두 글자가 보이지 않는다.

23. 현감이후정재청덕선정비(縣監李侯鼎宰淸德善政碑)

1889~1891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이정재(李鼎宰)를 기리기 위해 1892년(고종 29) 3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이정재의 바른 정사와 청렴함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0㎝, 너비 90㎝, 두께 46㎝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11㎝, 너비 44㎝, 두께 19㎝, 개석은 높이 54㎝, 너비 83㎝, 두께 31.5㎝이다. 비석 받침 상면과 비신 하부에는 고정을 위해 콘크리트 처리를 해 놓았다.

24. 현감조후휘원식청덕선정비(縣監趙侯諱元植淸德善政碑)

1891~1892년에 자인현감을 지낸 조원식(趙元植)을 기리기 위해 1893년(고종 30) 3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맑은 정사를 펼친 것과 형벌을 감면해 준 공덕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6㎝, 너비 57㎝, 두께 44㎝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00㎝, 너비 38.5㎝, 두께 16㎝, 개석은 높이 51㎝, 너비 60㎝, 두께 51㎝이다.

25. 군수조후휘유승애민선정비(郡守曺侯諱有承愛民善政碑)

1894~1897년에 자인현감과 자인군수를 지낸 조유승(趙有承)을 기리기 위해 1898년(광무 2) 2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푼 공덕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10.5㎝, 너비 68㎝, 두께 45.5㎝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86㎝, 너비 44㎝, 두께 21㎝, 개석은 높이 66㎝, 너비 76㎝, 두께 20㎝이다.

26. 군수이후휘인긍영세불망비(郡守李侯諱寅兢永世不忘碑)

1902년에 자인군수로 부임한 이인긍(李寅兢)을 기리기 위해 1903년(광무 7) 4월에 건립하였다. 비석에는 고을을 교화하고 전답을 개간하였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2㎝, 너비 83㎝, 두께 71㎝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23㎝, 너비 46㎝, 두께 19㎝, 개석은 높이 56㎝, 너비 77㎝, 두께 32㎝이다.

27. 가선박일흥정배인공궤거폐비·절충최시동봉적시연역견감비(嘉善朴日興定配人供饋祛弊碑·折衝崔時東捧糴時烟役蠲減碑)

가선대부(嘉善大夫) 박일흥(朴日興)의 부인 정씨(鄭氏)가 토지를 희사하여 정배인(定配人)을 공궤(供饋)한 공덕과 절충장군(折衝將軍) 최시동(崔時東)이 토지를 희사하여 각 집에 부과된 잡역 일부를 면제시켜 준 공덕을 기리기 위해 1816년(순조 16) 12월에 건립하였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9㎝, 너비 60㎝, 두께 54㎝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76㎝, 너비 39㎝, 두께 13㎝이다.

28. 한량이이손동유공불망비(閑良李以孫洞有功不忘碑)

재물이 부족한 고을을 위해 자신의 재산을 희사한 한량(閑良) 이이손(李以孫)을 기리기 위해 1834년(순조 34) 3월에 건립하였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8.5㎝, 너비 60㎝, 두께 40.5㎝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73㎝, 너비 38㎝, 두께 13㎝이다.

29. 동지류붕서영세거막비(同知柳鵬瑞永世祛瘼碑)

농업 용수 공급을 위해 토지를 희사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류붕서(柳鵬瑞)와 류붕서의 조카 류하성(柳夏成)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1836년(헌종 2) 3월에 건립하였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9.5㎝, 너비 60㎝, 두께 40.5㎝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73㎝, 너비 35㎝, 두께 13㎝이다.

30. 황처사학유공비(黃處士鶴有功碑)

환곡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을 세운 고을 사람 황학(黃鶴)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842년(헌종 8) 8월에 건립하였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9㎝, 너비 56㎝, 두께 45㎝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59.5㎝, 너비 31㎝, 두께 12㎝, 비수(碑首)는 높이 6.5㎝, 너비 43㎝, 두께 35㎝이다.

31. 영릉참봉김공병하송덕비(英陵參奉金公秉河頌德碑)

농업 용수 공급을 위해 제방을 쌓은 영릉참봉(英陵參奉) 김병하(金秉河)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1936년 3월에 건립하였다. 비석 받침 크기는 높이 6㎝, 너비 71㎝, 두께 46㎝이며, 비신 크기는 높이 116㎝, 너비 42.5㎝, 두께 16.5㎝, 개석은 높이 5.5㎝, 너비 72㎝, 두께 35㎝이다.

[현황]

경산자인의계정숲 비석군의 개별 비석마다 안내판을 세워 놓았다.

[의의와 평가]

경산자인의계정숲 비석군은 조선 시대 및 개항기 자인현의 통치상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특히 부세 문제와 관련된 내용이 많아 당시 지역민들의 주 관심사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