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600
한자 毛洞場
이칭/별칭 모동우장,모동삼장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강만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1705년경연표보기 - 모동장 설치
훼손 시기/일시 1900년경연표보기 - 모동장 폐지
현 소재지 모동장 -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2리 인향동
현 소재지 모동장 - 서귀포시 한경면 고산리 자구내 포구[사귀포]
현 소재지 모동장 - 서귀포시 대정읍 일과리 서림포
성격 목장|우목장

[정의]

1705년(숙종 3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리·무릉리·영락리 일대에 설치된 우목장.

[개설]

『제주읍지』에 따르면, 모동장은 제주목사, 감목관, 우감(牛監) 2명, 색리 1명, 겸찰군두 2명, 목자 10명에 의해 운영되었고, 목장둘레는 37리였으며, 소 203수, 말 9필이 있었다. 『탐라지초본』[1840년대]에는 우감 2명, 군두 1명, 목자 14명, 소 637두가 기재되어 있으며, 대정현 관할 목장[7·8소장]에서 선정되어 온 진상용 체임마(遞任馬)·연례마(年例馬)·어승마(御乘馬) 등이 일시 사육되었다고 한다.

모동장에서 방목 중이던 우마들이 사전(私田)에 답전(畓田)[밭림: 진압농법]을 위해 이용되었는데, 「제주삼읍전도」에는 모동우장(毛洞牛場), 「대정군지도」[1899년]에는 모동삼장(毛洞三場)으로 나타나고 있다. 모동삼장신도리 부분의 서장(西場), 무릉리 부분의 중장(中場), 영락리 부분의 남장(南場)으로 구성되었다. 처음에는 마장(馬場)이었으나 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소를 사육하는 우목장으로 변화되었다. 1800년대 말에 소를 7소장으로 이식시켰으며, 1900년경에 모동장이 폐장되었다.

[위치]

모동장대정읍 무릉2리 인향동, 한경면 고산리 자구내 포구[사귀포], 대정읍 일과리 서림포(西林浦)를 연결하는 공간에 위치했다. 모동장 내에는 농남봉[龍木岳], 돈두악[敦垈山]이 있으며, 목장에서 방목된 소의 용수로 원지(院池)라는 물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원지는 현재 ‘맨남못’으로 불리며, 농남봉 북서쪽에 남아있어 농업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현황]

현재 모동장 터는 농경지로 활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제주도 서부 해안평야지대에 소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설치된 유일한 목장이었다. 모동장 운영에 참여했던 우감·군두·군부·목자들의 삶과 목축방식에 대한 안내문을 설치해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