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717
한자 加波里信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집필자 강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포제단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하동 포구 동쪽 말 잡은 목지도보기
현 소재지 메부리당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하동 포구 바위지도보기
현 소재지 항개당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상동 포구 시리지도보기
성격 가정 신앙|민간 신앙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에서 행해지는 유교식·무속식 형태로 치러지는 공동체 신앙과 개인 신앙을 포함하는 민간 신앙.

[개설]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즉 가파도에서 행해지는 신앙은 유교식·무속식 형태로 치러지는 공동체 신앙과 개인 신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동체 신앙으로는 유교식 마을제인 포제와 요왕제가 있으며, 개인 신앙으로는 가정에서 행해지는 가정 신앙과 본향당제, 그리고 배고사 등이 있다. 가정 신앙으로는 장례·상례·제례·묘제·토신제 등을 들 수 있다. 의례 시행 시기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구분된다.

[내용]

1. 공동체 신앙

1) 유교식 마을제

유교식 마을제로는 남성들에 의해 행해지는 포제가 있다. 포제는 마을 수호신인 이포지신(里酺之神)에게 풍농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의 공동 의례로서 전 주민이 참여하는 가장 큰 의례이다. 포제에는 한 해 동안의 마을의 평안을 빌며 음력 정월에 거행되는 춘포제와, 풍농을 기원하며 음력 칠월에 거행되는 농포제 등 두 가지가 있다. 춘포제는 음력 정월의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하여 마을 동쪽에 있는 ‘말 잡은 목’이라는 곳에 제단을 마련하고 매년 거행되고 있다. 제사장에는 제단 집이 지어져 있고 신성시되어 평소에는 사람들의 출입이 금지된다.

제의의 관리는 마을의 남성들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음력 섣달그믐이나 정초에 이장이 마을 총회인 향회를 소집한다. 향회에서 새해의 마을 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을 비롯하여 제의에 소요될 예산의 규모, 제관의 선출 등 제의의 준비 및 계획에 관하여 토의한다. 제의에 소요되는 비용은 마을 공금에서 충당되고 있는데 1995년부터 읍에서 포제 지원금이 보조되고 있다.

포제는 우선 천신에게 드리는 천제를 드리고 나서 토신제와 테우리제가 행해진다. 토신제는 공동묘지에서 앞으로 1년 동안에 장례식이 있어도 별도로 제를 지내지 않을 것을 고하면서 행해진다. 토신제가 끝난 후 이어서 테우리제가 행해진다. 이 제의는 과거에 농기구가 없어서 가축을 이용하여 농사를 지을 당시 가축의 번창을 기원하면서 가축으로 인한 농사의 피해가 없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이다. 제의가 끝난 다음날 제물로 준비했던 음식은 주민들과 나누어 먹으며 신에게 받쳐진 정성이 어지럽혀지지 않도록 전 주민이 행동을 조심하며 제의의 효험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한다.

2) 요왕제

요왕제는 해신인 요왕에게 비는 신년제로서 풍어제를 의미한다. 요왕제는 어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의 공동체 신앙이다. 가파도에서는 어선을 소유하고 있는 선주들이 합동으로 음력 정월에 좋은 날을 택일하여 바다에서의 풍어와 안전을 기원하면서 행해 왔다. 이러한 풍어제는 큰 배를 소유하고 있는 선주들이 모슬포 지역으로 이주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마을 내의 무당이 없어지면서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약 3년간 중단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마을에서 해녀가 물질 작업 도중 급사하거나 어선에서의 잦은 사고 등 좋지 않은 급작스런 사건으로 인해 해상에서의 조업에 불안을 느껴 1990년부터 어촌계 주관으로 다시 시행하고 있다. 요왕제는 3~4명 심방을 초빙하여 2~3일에 걸쳐 해변가에서 거행되고 있으며, 제의 비용은 어촌계와 주민 그리고 외부 지역에 살고 있는 가파도 사람들의 기부금으로 충당된다.

2. 개인 신앙

1) 가정 신앙

가정 신앙은 유교식 절차로 개별적 형태로 행해지는 조상 제사와 토신제를 들 수 있다. 조상 제사는 장례·상례·제례·묘제 등으로 구분된다. 가파리의 장례식은 마을 전체의 공동 의례로 거행되는 점이 특징적이다. 상례[소상]는 고인의 사망 1주기에 행하는 제사로 아침에 설상해 상객을 맞이하여 자정에 파제하고 있다. 기제사는 4대 봉사(奉祀)를 원칙으로 거행되고 있으며, 아들들 사이에 제사 분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부모의 제사인 경우 장남이 부의 제사를 맡으면 차남이 모의 제사를 맡고, 고조 이상의 제사의 경우에는 방계 혈족인 당사촌이나 육촌 사이에 제사가 분배되고 있다. 문중 조직 단위로 이루어지는 묘제가 매년 음력 3월에 선조들의 묘소에서 행해지고 있다.

제사 비용은 문중 회비에서 염출하거나 근래에 와서는 후손 가족들 중 자원하여 제물을 차리고 묘제를 지내고 있다. 묘제를 위해서 특별히 택일하지 않으나 친족들이 가급적 많이 모일 수 있는 공휴일에 지내고 있다.

한편, 토신제는 음력 정월 초순에 각 가정에서 길일을 택일하여 자시에 집 울타리 안의 정결한 곳에서 토지신에게 가족의 평안과 가축의 번성과 오곡이 풍성하기를 기원한다. 제관은 집안의 가장이나 축을 고할 줄 아는 남자를 불러서 하는데, 선정된 제관은 3일 재계를 해야 하며 제를 지내는 집에서도 집 출입구에 금줄을 쳐서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한다.

2) 본향당제

본향당제는 가파리에서 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무속 신앙이다. 정월 초에 본향당에서 당골 심방을 불러 당굿을 성대하게 벌리고 있는 다른 지역의 마을들과는 달리 가파리에서는 이러한 당굿은 행하지 않고 주부들이 개인적으로 제물을 차리고 당을 찾아 비념[축원의 제주 방언] 형태로 당제를 지내고 있다. 제의의 목적은 어로와 해녀의 안전과 풍요, 가족의 무병과 평안을 기원하는 데 있다.

가파리의 본향당은 모두 바닷가에 돌담으로 바람막이 울타리를 쌓아 놓았는데, 울타리 안의 공간이 바로 신성한 공간으로 당신(堂神)이 주재하고 있다. 가파리에는 자연마을 단위로 각각 본향당을 갖고 있는데, 상동에는 ‘메부리당’, 하동에는 ‘항개당[뒷성서낭당]’이 있다. 항개당은 메부리당에서 나눠 온 당이고 상동의 메부리당은 역시 이주민들이 정착 과정에서 대정읍 상하모리의 ‘문수물당’에서 분리해 온 당이다. 제일(祭日)은 일정하지 않으나 1월과 6월, 8월에 각 한 번씩 길일을 택하여 아침 일찍 각 가정의 주부들이 각자 제물을 준비하여 당에 가서 제의를 행한다. 이외에도 제사나 배고사를 지낼 때, 그리고 가내에 불안한 일이 있을 때에 수차례 축원하러 당을 찾고 있다.

가파도 사람들은 부모대부터 상동할망당[메부리당]을 다닌 경우 하동에 살더라도 먼저 상동할망당을 다녀온 후에 하동할망당[항개할망당]에 간다. 제물로는 메·떡·술·건어·돼지고기·과일 등을 다섯 조씩 준비하여 셋은 할망신에게, 하나는 용왕에게,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조상에게 올린다. 이외의 제물로서는 백지·물색천[황·주·청]·실·돈 등을 함께 올려서 향을 피우고 배례하고 나서 앉아서 기원 드리고 재차 배례하고 의례를 마친다.

3) 배고사

배고사는 어선을 소유한 선주가 풍어와 무사고를 기원하면서 드리는 개별 의례이다. 배고사에는 무속식 의례인 ‘선왕노리개’와 유교식 의례인 ‘배고사’의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가파도에서는 이것들을 모두 ‘배고사’라고 칭한다. 선왕노리개란 일명 ‘연신맞이’라고도 불리는 무속 의례로, 배를 지켜 주는 선신(船神)인 선왕을 배에 모심으로써 어선의 안전과 어로에서의 풍어를 기원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행한다. 이 의례는 어선을 새로 만들거나 멀리 어로작업을 나가기에 앞서 거행된다. 의례의 특징은 도깨비를 청하여 선신인 선왕으로 모시고 있는 점이다. 가파도의 선신인 선왕은 쥐로 상징되고 있다. 그래서 배에 있는 쥐는 신성한 것이므로 건드리거나 죽이는 것이 금기시되고 있다.

유교식 배고사는 배를 신조하여 진수식할 때에 행해진다. 선왕의 신단(神壇)은 선실 벽의 좌측 또는 뱃머리의 간판에 일반적으로 나무상자로 만들어지며, 제의 때 청·백·주·흑·황의 5색의 천이 신단에 봉납된다. 이 제의는 이후 매월 초하루와 보름 또는 집안에 제사나 혼인식이 있을 때에 간단히 제물을 차려 놓았다가 배례 없이 철상 하는 의례이다.

배고사는 선주가 제관이 되어 혼자 지내는 의례로 2~4명의 선주가 배를 공동으로 소유하고 어로작업을 하는 합작 어선의 의례의 경우에는 그 선주들이 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하여 제를 지내거나, 교대로 돌아가면서 제를 지내고 있다. 선주가 이 제의를 치르는 날 집안의 여성은 아침 일찍 먼저 할망당을 찾아가서 의례를 행하고 있다.

[현황]

서귀포 가파도에서는 농사와 어로 작업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이와 관련된 민간 신앙이 행해지고 있다. 현재 유교식 마을제의 일환으로, 농사의 피해가 없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테우리제가 행해지고 있으며, 농포제는 40여 년 전에 없어졌으나 춘포제는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해신인 요왕에게 비는 요왕제는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일시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마을에서 좋지 않은 일이 자주 생겨 해상에서의 조업에 불안을 느끼게 되어 1990년부터 2년에 한 번씩 마을 공동체 신앙으로 전승되고 있다. 가파리에서 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무속 신앙인 본향당제는 주부들이 개인적으로 제물을 차리고 당을 찾아 비념[축원의 제주 방언] 형태로 행해지고 있다. 또, 배고사는 선주가 제관이 되어 혼자 지내는 의례로 선주가 이 제의를 치르는 날 집안의 여성은 아침 일찍 먼저 할망당을 찾아가서 의례를 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