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0655
한자 田爾錫-朱必大遺墟碑
영어의미역 Monument for the Filial Piety of Jeon Yiseok and Ju Pilda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853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최인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건립시기/일시 1937년 3월연표보기
관련인물 전이석|주필대
재질 화강암
높이 167㎝
너비 35㎝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853 지도보기

[정의]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에 건립된 조선 중기 전이석·주필대의 효행을 기리는 비.

[개설]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후망마을 마을회관 옆 몽양사(蒙養祠) 뒤편에 있는 전이석(田爾錫)주필대(朱必大)의 효성을 기리는 유허비(遺墟碑)이다. 전이석은 담양인(潭陽人)으로 호는 송암(松菴)이며 자(字)는 주경(周卿)이다. 경은(耕隱) 전조생(田祖生)의 후예로 통정대부 전순우(田舜雨)의 아들로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아버지가 병이 들어 방어(魴魚)를 먹고 싶어 하자 바닷가에 나가서 고기를 잡으려 하는데, 방어가 물속에서 스스로 뛰어나왔으므로 이를 잡아 공양하였다고 한다. 또 아버지가 송어(松魚)를 원하자 하늘을 우러러보면서 통곡하자 물새가 송어를 물어다 주었다고 한다. 당시 사람들이 이를 보고 하늘이 감동한 효라 칭찬하였다.

전이석은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여막을 지어 3년 동안 묘를 지키니 울진 지역 주민들이 1716년(숙종 24)에 몽양사를 지어 배향하였는데, 후정리에 거주하던 생원 백시승(白始升)전이석의 행장(行狀)을 지었고, 세마(洗馬) 이광정(李光庭)이 향사(享祀) 축문을 지었다고 한다.

주필대(朱必大)[1616~1693]는 신안인(新安人)으로 호는 한재(寒齋)이며, 자(字)는 후지(厚之)로 군자감정(軍資監正) 주성유(朱聖兪)의 아들이다. 학문이 뛰어나고 어진 이를 따르는 것이 돈독하였다. 1662년(현종 3)에 생원(生員)으로 임만휴(任萬休) 문하에서 글을 배웠으며, 후학들의 학문을 권장하였다고 전한다.

[건립경위]

효자 전이석주필대 두 선생을 모시고자 1716년(숙종 42년)에 창건한 몽양사가 1868년(고종 5)에 철폐되자, 1937년 3월 전이석·주필대 유허비(遺墟碑)를 세우게 되었다.

[위치]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853번지 후망마을 마을회관 옆에 있다. 울진읍에서 국도 7호선을 타고 북면 방향으로 가다 후정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나온 후에 200m를 직진한다. 후정2리 방향으로 직진하게 되면 전이석·주필대 유허비가 있는 곳에 도착한다.

[형태]

전이석·주필대 유허비는 단칸에 기와를 얹은 맞배지붕의 비각 안에 있다. 비각은 서쪽을 향하고 있으며 뒷면과 옆면은 흰색의 회벽으로 막았고, 앞면 아랫부분만 살대로 막아놓았다. 전이석·주필대 유허비는 화강암으로 지붕돌[옥개형 가첨]과 3단의 비좌로 제작되었다. 비석의 규모는 지붕돌이 너비 64㎝, 두께 41㎝, 높이 30㎝이며, 비신은 너비 35㎝, 두께 13㎝, 높이 122㎝이다. 비좌는 가로 60㎝, 세로 43㎝, 높이 15㎝로 전체 높이는 167㎝이다.

[금석문]

비신의 중앙에 세로 두 줄로 “한재주선생송암전선생(寒齋朱先生松菴田先生)”을 새기고, 그 아래 세로 한 줄로 “유허비(遺墟碑)”를 새겼다. 글자의 크기는 가로 12㎝, 세로 12㎝이다. 옆면에 “정축삼월일수(丁丑三月日竪)”라는 건립 연대가 있어 이 비석이 1937년 3월에 건립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현황]

죽변면 후정리 후망마을 마을회관 옆에 있어 마을 사람들이 전이석·주필대 유허비를 감시하기가 쉽고, 또 울진군 내에 전이석주필대의 후손들이 상당수 거주하고 있어 유허비의 관리는 비교적 잘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