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모심기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1524
영어의미역 Song of Rice-planti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집필자 김기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농업노동요
기능구분 농업노동요
형식구분 교환창|독창|제창
가창자/시연자 이간남[근남면 진복리]|윤병모[매화면 매화2리]|김말순[후포면 후포리]|권천권[죽변면 후정리]|장완식[평해읍 직산리]|김분해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개설]

울진 지역에서는 다수의 「모심기 소리」가 전해 오는데, 특이하게 ‘아침에 부르는 노래’, ‘점심때 부르는 노래’, ‘저녁때 부르는 노래’의 사설이 다르게 구성된다. 이 중 아침에 부르는 「모심기 소리」에서는 모 심기의 준비 과정이나 수확에 대한 기대를 서술하며, 점심때 부르는 「모심기 소리」는 공통적으로 점심참이 늦어지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저녁때 부르는「모심기 소리」는 청춘 남녀의 사랑이 주제이다.

[채록/수집상황]

1991년에 근남면 진복리의 이간남[남, 90]과 매화면 매화2리의 윤병모[남, 75], 후포면 후포리의 김말순[여, 64], 죽변면 후정리의 권천권[남, 65], 평해읍 직산리의 장완식[남, 62] 등이 부른 것을 울진군의 문화재조사연구단이 채록하여 1991년에 출간한 『울진의 문화재』에 수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모심기 소리」는 사람들이 편을 나누어 부르는 교환창 방식으로 많이 불리며, 경우에 따라 독창 혹은 제창 형식의 노래도 보인다. 율격으로 보면 2음보와 3음보가 섞여서 불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내용]

「모심기 소리」1

만경창파에 돛달은 배야/바람이 올 때를 기다린구나/옥중에 갖힌 춘향/이도령 올 때를 기다리고/요내나는 서슬한 강풍이 불 때/갔던 임은 왜 못온가/갈 때는 온다더니/온다소리 전혀없네

-아침에 부르는 노래

네귀 번들 들꼬 논에/이리 숨가[심어] 저리 숨가[심어]/집집마다 다 숨군다/에-야-어-야/골골마든 열린거는/우리 손에 달렸구나/이 논빼메 모를 숨가[심어]/장잎이 훨훨 조화로다

-점심때 부르는 소리

반달같은 점심밥은/해그넘에 달같이도 넘어온다/우리들이 이래 꽂아/이 논빼메 저 논빼매/여게 꽂이고 저게 꽂이고/이 해 넘에 넘어간다[가창자-이간남]

「모심기 소리」2

-점심때 부르는 소리

마마-마마 점심-마마/점심-참도 늦어 가네/찹쌀 닷말 밉쌀 닷말/씻고야 씻다 늦어왔네/마마 마마 점심 마마/점심참도 늦어가요/수제 닷단 간제 닷단/씻고여 씻다 늦어왔네/마마 마마 점심 마마/점심에 참도 늦어가요/어린아해 젖은 물여/먹이고하다 늦어왔소

-저녁때 부르는 소리

해 다지네 해 다-지네/이 논빼미 해-다지네/마들총각 해가 지며/어로임자 어데로 갔노/동해 동쪽 돋은 해는/일락-서산에 넘어가고/정든-임자 어디가고/저녁할 줄 왜 몰랜고(가창자-윤병모)

「모심기 소리」3

〈선창〉 이 물개 저 물개 다 헐어놓고 진디야 할려니 어데 갔노/〈후창〉 단대서라지 손데 들고 첩의 방에 놀러갔네 /무슨 첩이 유달해서 밤으로 낮으러 가노/ 밤으로 가는 건 잠자로 가고 낮으러 가는 건 놀러가네/서마지게 요논빼메 모를 숨가도 반달같네/니가 어째 반달이고 초성달이가 반달이제

-아침에 부르는 소리

〈선창〉 도리여 도래 내 친구 이실[이슬] 자자슥 내 몸 같세/〈후창〉 매화남거 꺾어들구 이실치러 내가 가네

-점심때 부르는 소리

〈선창〉 머마머마 점심머마 점심 참이가 늦어온다/〈후창〉 찹쌀닷말 맵쌀닷말 이다가보니 늦어오네/만춘산중 고사리는 점심 국거리로 다올리고/서해바다 고등어는 점심반찬에 다 올리네/머마머마 점심머마 점심 참이가 늦어오네/수제닷단 간제닷단 세리다가 늦어오네/머마머마 점심머마 점심참이가 늦어오네/아흔아홉칸 시녀들아 하홉칸 도다가 늦어오네

-저녁때 부르는 소리

〈선창〉 동해여동산 돋은 해는 일몰 서산에 넘어가네/〈후창〉 우리야 임은 어딜가고 동냥할 줄을 모리던고/해는 지고 저문날에 어떤 한 수자가 울고가노/이별행차 보내주고 이별행차가 떠나가네[가창자-김말순]

「모심기 소리」4

-아침에 부르는 소리

이논뺌에 모를 심어 장잎이 훨훨 장할래라/〈선창〉 바다야 같은 이 논뺌에 반달말이 짓다 놨나/〈후창〉 지기야 무슨 반달이고 초승달이가 반들이자

-점심때 부르는 노래

〈선창〉 머마 머나 진에 머마 점심 참이가 늦어가네/〈후창〉 방긋 방긋 웃는 애기 젓을 주다가 늦어왔네/머마 머마 진에 머마 점심 참이가 늦어왔네/십이대문 밟고나니 점심참이가 늦어졌다/떠나온다 떠나온다 점심참이가 떠나온다/새벽같아 점심밥글 반달같이 떠나오네

-저녁때 부르는 소리

〈선창〉 해 다지고 저문날에 처녀들이 날진가네/〈후창〉 석자야 수건 목에 걸고 총각 둘이가 뒤 따르네/해다지고 저문날에 어는 행상이 떠나가노/이태백 볼처죽어 이별행상이 떠나간다/모시야 반 저고리 분통같은 젓좀보소/많이 보면 병이나고 손끝만치만 보고가소[가창자-권천권]

「모심기 소리」5

〈선창〉 머마 머마 중신 [점심]머마 중신 참이가 느져가오/〈후창〉 짭쌀 단말 밉쌀 단말 미나리가 다해 초단간/머마 머마 중신머마 중신 참이가 느려가오/수제갔던 추부리 다섯 글로 하여 늦어가오/이 논 빼매다 모를 숭거 가지도 벌어도 장화로다/떠나온다 떠나온다 이 정신 밭고히 떠나온다/반달 같은나 정신[점심] 밭고히 온달 같이도 떠나오네/니가야 무슨야 반달이고 초승들이가 반달이세/동해야 동천 뜨는 해 일로야 서산에 넘어가네/이 물게 저 물게 다 열어놓고 첩으야 집에 놀러갔네/무스나 첩이가 유다해서 낮에 가고 밤에 가노/낮엔들 노냐 놀러가고 밤에는 잠자러 가네/멈아 멈아 점심멈아 점심 참이가 늦어오네/찹쌀 닷말 멥쌀 닷말에 일고 일다가 늦었구나/멈아 멈아 중신멈아 중심 참이가 늦어오네/간제 닷단 수제 닷단 놓고야 놓다가 늦었구나/해야 동산에 돋은 해야 일어 서산을 넘어가네/우리내는 어데가고 해 연기 낼 줄을 모르시나/해야 적삼에 반정도에 분통 같은나 저 젓보소/해야 보면 병이 들고 죽객보고 돌아가소[가창자-장완식]

「모심기 소리」6

장새야 장새야 화장새야/기 짊어진게 그 무엇인고/장두야 창칼아 우동빈에/팔도기상[기생] 머리댕기/요논빼매 모를 숭가/가지가 벌여서 장화로다/우리야 부모님 산소덕에/솔로 숨가도 정자로다/말은 가자고 굽은 친데/임은 잡고 낙노하네/가는 나를 임일랑 잡진 말고/지는 해를 잡아매소/운애 안개 잦은 골에/그 매야 저 매야 누 맬런고/천리강산 세용가세/해 다지고 저문 날에/어떤 수자가 울고 가네/일년아 초야 간두밑에/백년야 채관을 넣고 가네/도령은 청사초롱/청사초롱에 불을 밝혀/임두야 눕두야 나도 누워/초창의 등불은 누가 키노[가창자-김분해]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