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1736
한자 朱鎭洙紀念碑
영어의미역 Monument for Ju Jinsu
이칭/별칭 백운(白雲)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내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인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양식 옥개형 가첨과 비신, 2단의 기단으로 구성된 비석
건립시기/일시 1959년 3월 1일연표보기
관련인물 주진수
재질 검은색 화강암
높이 기단 1.5m|비 1.9m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내리
소유자 국가보훈처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내리 울진초등학교 앞에 있는 애국지사 주진수를 기리는 기념비.

[개설]

주진수(朱鎭洙)진수(鎭壽)라고도 하는데, 호는 백운(白雲)으로 신안(新安) 사람이다. 부친은 주병휘(朱秉徽)로, 1878년 7월 11일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매정동에서 태어났다. 주진수는 1907년 10월 매화만흥학교를 설립하여 신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에 노력하였으며, 청소년들에게 나라 사랑을 일깨워주었다.

1909년 봄 신민회 간부인 양기탁, 안태규, 이동영 등과 제2독립기지를 건설하려 할 때 강원도 지역 책임자로 활동하였고, 1910년 8월 김구와 함께 서울 총독부를 대신하는 도독부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1911년 일제가 조작한 데라우치[寺內]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2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만주에 망명하여 이시영, 이상용과 함께 신흥강습소를 열어 학생들의 독립 정신을 고취시켰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고, 1926년에는 고려혁명당 중앙위원으로 선임되어 당을 이끌기도 하였다. 주진수는 1936년 9월 16일 열망하던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59세를 일기로 만주 영안현 해림에서 사망하였다. 주창열, 주창근 두 아들이 있으며, 1991년 8월 15일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건립경위]

주진수의 구국 독립 운동을 기리기 위하여 백운선생기념사업회에서 1959년 3월 1일 울진초등학교 정문 왼쪽에 기념비를 세웠다. 그 후 기념행사를 할 공간이 협소하여 백운선생기념비건립추진위원회에서 울진군청과 국가보훈처의 지원을 받아 2005년 8월 15일 매화만세공원 안에 기념비를 세우고 매년 3월 1일 기념 행사를 열고 있다.

[형태]

화강암으로 된 2단의 기단 위에 검은색 화강암으로 제작한 비신에 지붕돌[옥개형 가첨]을 갖추고 있다. 기단의 높이는 150㎝이고, 둘레는 화강암 석재로 얕은 테를 두르고 안에는 작은 자갈을 깔았다. 비신의 높이는 190㎝이다.

[금석문]

앞면에 ‘애국지사백운주진수선생기념비’라 새겼으며, 옆면과 뒷면에는 주진수의 행적과 비를 세우게 된 경위를 ‘애국지사백운주진수선생기념비문(愛國志士白雲朱鎭洙先生紀念碑文)’이라는 제목으로 새겨 기록하고 있다.

“우리 애국지사 백운 주진수 선생은 단기 4211년 7월 11일 울진군 후정리에서 나시어 왜적의 침략에 쓰러져 가는 국운을 통탄한 나머지 부귀영달을 버리시고 애국단심 나라를 건지려던 공적을 소개하면, ① 남궁억 선생 영도의 관동학회원으로 활약 ② 서재필 박사 영도의 독립협회 강원도 책임자로 활동 ③ 매화리 만흥학교를 창설하며 후진 교육에 노력 ④ 사동, 강릉, 안동, 영해 등 의숙 설치에 지도 협력

⑤ 신민회 강원도 대표로 활동 ⑥ 한일 합병 후 신해혁명 때 검속되어 복역 ⑦ 만주 광복군관학교 창설 자금 조달 강원도 대표로 활약 ⑧ 이시영 선생 경영의 신흥무관학교 참모로 활약 ⑨ 3·1운동 때 만주에서 지휘 ⑩ 대한민국 임시정부 강원도 대표로 활약 ⑪ 청산리 싸움에 김좌진, 이범석 장군의 참모로 활약 ⑫ 고려혁명당을 조직 지도하셨다.

선생은 이와 같이 찬바람 궂은비 모든 고난 속에서 조국 광복을 위하여 지성을 다하셨건만 조국 독립을 보시지 못한 채 애석하게도 단기 4269년 9월 16일 만주 해림에서 59세의 일기로 조국 충혼이 되시었다. ‘겨레여! 다같이 선생의 높으신 업적을 길이 청사에 빛내자’

선생의 이름은 주진수(朱鎭洙)인데 진수(鎭壽)라고도 하였다. 백운은 선생의 호이며, 신안(新安) 사람이다. 주병휘(朱秉徽)의 아들이요 지금부터 81년 전인 고종(高宗) 무인년(戊寅年)에 울진군 후정리(後亭里) 매정(梅亭)에서 출생하였으며, 병자년 만주 영안현 해림에서 사망하셨다. 두 아들이 있었으니 창열(昌烈), 창근(昌根) 선생이다. 선생님에 관한 사실들은 이승만(李承晩) 박사가 지은 『독립노선(獨立路線)』, 김구(金九) 선생의 『백범일지(白凡日誌)』, 안창호(安昌浩) 선생의 『도산실기(島山實記)』와 『조선혁명소사(朝鮮革命小史)』를 참조하라.

향우 전영경(田永璟)은 선생 밑에서 여러 해에 걸쳐 고생을 같이 하였는데 행적과 이력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그 까닭으로 후면에 국문(國文)으로 선생의 업적을 여러 조목으로 간략히 기술한다. 그러나 또 해독하기 어려울까 걱정되어 성명은 한자로 한 반면에 제액(題額)하고 장차 선생의 실록(實錄)을 새겨서 썩어 없어지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선생의 본향(本鄕) 동지인 황만영(黃萬英), 주동웅(朱東雄), 최경호(崔慶鎬), 곽종목(郭鍾穆), 진규환(陳奎煥) 제공(諸公)은 다 기록하지 못하였다. 비문을 새긴 날은 단기 4291년 무술 황화절(黃花節)이고, 후학 윤호규(尹鎬逵)가 삼가 찬하다.

명(銘)하여 말하기를 ‘만고에 불변하는 것은 천지의 정의라네/ 정의란 무엇인고, 뜻함이 어디냐에 있다네/ 선생의 뜻이야말로 유일무이하다네/ 칼날도 밟을 수 있고 귀신도 보증할 수 있다네/ 살아서도 한국인이요, 죽어서도 한국 귀신이라네/ 영령하신 백운 선생이시니 한국 속에 우뚝 하시도다/ 아! 우리 후인들이여, 어찌 존경하지 않으리요.’ 단기 4292년 을해 3월 1일, 백운선생기념사업추진위원회세움.”

[현황]

울진읍 울진초등학교에서 관리하고 있어 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잘 보존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주진수의 항일 독립 운동을 기념하여 비를 세움으로써 울진군 출신 독립 운동가의 행적을 널리 알리고, 지역 주민들에게 애국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울진군지』(울진군지편찬위원회, 2001)
  • 울진군청(http://www.ulji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