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0166 |
---|---|
영어의미역 | Falconry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
시대 | 고려/고려,조선/조선 |
집필자 | 강옥엽 |
[정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행해진 매사냥.
[개설]
고려시대에는 매사냥이 성행하였다. 특히 충렬왕은 자주 매사냥을 나갔다. 1282년(충렬왕 8) 왕비인 제국대장공주와 함께 충청도로 사냥을 떠나 임진현과 공암현을 거쳐 부평에 행차하여 사냥했으며, 1291년(충렬왕 17)에도 부평에서 사냥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매 사육]
고려 후기 원간섭기에 원은 고려에 조공물 중 하나로 해동청 같은 사냥용 매를 요구하였다. 이에 고려 정부는 매를 확보하기 위해 응방(鷹坊)을 설치하였다. 응방에 소속된 사람들은 원과 국왕의 측근 세력으로서 총애를 받아 많은 폐단을 일으켰다. 이정(李貞), 윤수(尹秀) 같은 무리들이 충렬왕 때 응방 출신으로 권력을 잡은 대표적인 경우다.
옛 부천이었던 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에 응방이 설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충렬왕 초기에 응방 사람이 여기서 매를 사육한 일이 있다. 당시 지어사상장군(知御史上將軍)을 역임한 이습(李槢)이 박경(朴卿)에게 “매를 기르는 자가 날마다 남의 닭과 개를 죽이고 있으니 먼 지방으로 가서 기르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이에 박경은 응방 이정에게 “모두들 매와 새매 때문에 여러 사람들의 시비를 많이 받고 있는데, 어째서 다른 곳에서 기르지 않는가?”라고 하였다. 이정이 이를 허락하고 윤수에게 지시하여 안남(安南)에서 사냥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조선 초기인 태종 때에는 부평부의 벌판에서 강무(講武)하면서 매를 놓아 사냥을 한 기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