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845 |
---|---|
한자 | 都應兪[達城郡] |
영어공식명칭 | Do Eung Yu |
이칭/별칭 | 해보,취애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병훈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해보(諧甫), 호는 취애(翠厓). 고조할아버지는 첨사 도의문(都義文)이며, 증조할아버지는 부위 도순경(都舜耕)이다. 할아버지는 우후 도흠조(都欽祖), 아버지는 도원량(都元亮)이다. 도원량은 용천(龍川), 청도(淸道), 초계(草溪)의 세 군을 역전(歷典)하였는데, 둘째 아들 도경유(都慶兪)가 영사 원종공신(寧社原從功臣)에 녹훈되면서, 병조 참판에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정부인(貞夫人) 현풍 곽씨(玄風郭氏)로 장사랑 곽진(郭趂)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의인(宜人) 진천 송씨(鎭川宋氏)로서 생원 송징(宋澄)의 딸이다. 둘째 부인은 의인 영산 신씨(靈山辛氏)이며, 신유경(辛裕慶)의 딸이다.
도응유(都應兪)[1574~1639]는 10세에 서사원(徐思遠)에게서 수학(修學)하였고, 자라서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에 들어갔다. 그 뒤에도 늘 두 선생 문하에서 『중용(中庸)』을 강(講)하고 정주서(程朱書)를 잠심(潛心)하여 성(性), 명(命)의 근원을 연구하고 공부에 힘써서 날로 진취하였다. 1613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다.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에 정경세(鄭經世)에 의해 소모장(召募將)이 되어 활약했다.
1906년 도응유의 후손 도윤기(都胤基)가 남은 글을 모아서 『취애 선생 문집(翠厓先生文集)』을 간행하였다.
1639년[인조 17] 4월 11일에 정침에서 사망한 도응유를 화원 만화동 해좌(亥坐)에 장례를 지냈다.
1786년[정조 10] 대구 성서(城西)의 병암 서원(屛巖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