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454 |
---|---|
한자 | 竹筍文學會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종헌 |
설립 시기/일시 | 1945년 10월![]()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46년 5월 1일 - 죽순시인구락부 동인지 『죽순(竹筍)』 창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48년 1월 - 죽순시인구락부 이상화 시비 건립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49년 7월 - 죽순시인구락부 동인지 『죽순』 통권 제11호로 종간 |
개칭 시기/일시 | 1979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9년 - 죽순문학회 『죽순』 복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5년 - 죽순문학회 이상화시인상 제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0년 - 죽순문학회 죽순문학상 제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4년 - 죽순문학회 『죽순』[창간호~10집] 영인본 제작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 죽순문학회 죽순신인상 제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8년 - 죽순문학회 이상화시인상 이상화기념사업회로 이관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2년 - 죽순문학회 『한국의 문학비』 편찬 |
성격 | 문학 단체 |
설립자 | 이윤수 |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시 문학 단체.
죽순문학회(竹筍文學會)는 1945년 10월 전국 최초로 결성된 시 동인 문학 단체이다. 창립 당시 동인의 명칭은 ‘죽순시인구락부’였고 초대 회장은 이윤수가 맡았다. 창립 회원은 창간호에 작품을 발표한 문인을 중심으로 살펴 보면 이윤수(李潤守), 최무영(崔武永), 김동사(金東史), 오란숙(吳蘭淑), 최양응(崔揚鷹), 이영도(李永道), 이병화(李炳和), 유치환(柳致環), 이호우(爾豪愚), 박목월(朴木月), 최해룡(崔海龍) 등이다.
죽순문학회는 ‘눈 이불 뚫고 어린 죽순(竹筍) 하나 뽀족히 왕(王)대의 꿈을 안고 오래인 부르지 못한 노래를 하늘이 베푼 이 땅의 해방과 함께 힘차게 불러 볼가 하는 것이 우리들의 죽순(竹筍)이다. [중략] 문학예술의 한 쪼각인 시 문학의 봉화가 될가 하노니’라고 동인지 『죽순』 창간호 편집후기에서 밝혔듯이 시 창작을 전문으로 할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죽순문학회는 1945년 10월 죽순시인구락부로 창립하여 1979년 ‘죽순시인구락부’에서 ‘죽순문학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죽순문학회는 초대 회장 이윤수가 1996년까지 재임하였고, 제2대 회장은 소설가 윤장근이 2006년까지 맡았다. 2022년 현재 회장은 시인 김창제이다.
죽순시인구락부는 1946년 5월 1일 동인지 『죽순(竹筍)』 창간호를 발간하여 6·25전쟁 전인 1949년 7월 통권 제11호로 종간하였다. 1947년 4월 18일 발간한 임시 증간호까지 합하면 통권 제12호를 발간하였다.
죽순시인구락부는 첫 사업으로 1948년 1월 대구 달성공원에 대한민국 최초의 시비(詩碑)인 이상화 시비[「나의 침실로」]를 건립하였다. 죽순시인구락부에서 죽순문학회로 명칭을 변경한 1979년 『죽순』을 복간하였고 2004년에는 『죽순』[창간호~10집] 영인본을 제작하였다. 죽순문학회는 2012년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에 산재한 문학인들의 시비를 촬영하여 엮은 『한국의 문학비』를 편찬하였다.
죽순문학회는 1985년 이상화시인상을 제정하여 운영하다가 2008년 이상화기념사업회로 이관하였으며, 이후 죽순문학상[2000]과 죽순신인상[2007]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죽순문학회는 초대 회장이자 『죽순』을 창간한 시인 이윤수를 기리기 위하여 2019년 ‘이윤수 문학상’을 제정하고 제1회 수상자로 서하 시인을 선정하였다. 1979년 복간한 『죽순』은 2021년 제55호를 출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