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200865 |
---|---|
한자 | 張鴻翰 |
영어음역 | Im Cheongang |
이칭/별칭 | 순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손경희 |
출생 | 1571년![]() |
---|---|
몰년 | 1594년![]()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정자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연화리 쌍호정 |
비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연화리
![]()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의병.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순거. 할아버지는 죽정 장잠이고, 아버지는 참의 장곤이다.
장홍한(張鴻翰)[1571~1594]은 의기가 초인하고 지략이 절륜하였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승 찬희와 그 상좌승 수정을 사로잡는 공을 세웠다. 1593년(선조 26) 10월에는 황간의 의병장 박이룡과 더불어 김산, 지례, 개령, 선산 네 개 읍의 유적을 토멸하는 데 전력하였다. 1594년 3월 진중에서 24세의 나이로 순국하였다.
상주목사 정기룡이 친히 염습하였으며, 순찰사 안효순도 군정과 제미(祭米)를 보내 장례를 돕게 하였고 왕이 제문으로 치제하였다. 이여송도 부음을 접하자 천하 영재라 칭상하고 만시에서 “촉산이 높고 촉수가 깊어도/ 너를 이하로 보내는 내 정에는 미치지 못하리[蜀山高蜀水深/不及伊吾送爾情].”라고 애도하였다. 송환기가 각기(刻記)를 닦고, 장석룡이 묘갈문을 지었다. 김천시 대덕면 연화리에 장홍한을 기리는 쌍호정(雙湖亭)과 쌍호장선생유허비(雙湖張先生遺墟碑)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