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0890
한자 朴淵世
영어음역 Bak Yeonse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김승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목사
출신지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성별
생년 1883년 4월 9일연표보기
몰년 1944년 2월 15일연표보기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목사.

[활동사항]

박연세(朴淵世)는 1883년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서 대대로 농토를 일구어 온 박자형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농사를 도우며 인근 서당에서 한문을 익히다가 군산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던 전킨(W. M. Junkin)[개명 전위렴]이 세운 영명학교에 입학하여 4년 과정을 이수하였다. 이후 박연세는 당시 김제군 백구면 유강리에 있는 신명학당에서 한문과 역사를 가르치게 되었다. 또한 이리 고현교회와 군산 구암교회에 출석, 봉사하였고, 모교인 군산 영명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며 민족의식 고취에 노력하였다.

그러던 중 1919년 2월 26일, 당시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지금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다니던 영명학교 출신 제자 김병수(金炳洙)가 찾아와 서울의 만세 운동에 관한 동향을 알리고, 28일 다시 내려와 비밀리에 독립선언문 95매를 전해 주었다. 이 독립선언문은 세브란스병원 제약실에 근무하던 이갑성(李甲成)은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민족의식이 투철한 김병수에게 군산 지역 연락 책임을 맡겼으며, 김병수가 스승이었던 박연세를 찾아가 전달한 것이다.

박연세는 같은 학교 교사 이두열(李斗烈)·김수영(金洙榮)·송정헌 등과 함께 만세 운동 준비에 돌입하였으나, 거사 전일인 3월 5일 일본 경찰의 습격을 받아 체포되고 말았다. 그러나 학생들이 주도한 만세 운동은 그대로 전개되어 3월 20일 1천여 명의 횃불 시위로 이어졌으며, 4월 4일에는 1만여 명이 모인 이리역전 시위로 번져 갔다. 결국 박연세는 「보안법」 등 위반 혐의로 대구형무소에서 2년 6개월의 실형을 살았다.

형기를 마친 박연세는 전북노회의 추천을 받아 평양신학교에 진학하였다. 이후 이리 지역의 고현교회와 황등의 동련교회에서 위임목사로 활동하다가 1926년 9월 목포에 있는 양동교회에서 재직하였다. 그러나 1944년 1일 20일 일본 경찰은 목포지구기독교회 목사로 봉직 중인 박연세를 신사 참배를 반대한 불경죄와 「보안법」 위반 등 각종 죄목을 뒤집어씌워 재판에 회부하였다. 결국 박연세는 1년 동안 미결수로 있다가 1943년 10월 목포지법에서 1년형을 선고받고 대구복심법원으로 넘겨진 뒤 대구형무소에서 순교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