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주목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135
한자 公州牧地圖
영어의미역 The Map of Gongju-mok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윤용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용도 행정용
발급일시 1872년(고종 9)연표보기
소장처 규장각도서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1872년 제작된 공주목의 지도.

[개설]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양란을 겪은 조선 사회는 18세기 영조·정조 대에 이르러 부흥기를 맞이하게 된다. 각종 문물 제도가 정비되고 사회적으로 안정되면서 중심 산업인 농업 부문의 생산력이 높아지고 이와 더불어 상품 유통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이 시기는 실학을 비롯한 학문뿐만 아니라 문학·예술 부분에서도 많은 성과들이 축적되기도 하였다.

영조·정조 대는 조선시대 지도 제작에서도 최고의 전성기였다. 그러나 19세기로 넘어가면서 조선 사회는 세도 정치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더불어 삼정(三政)의 문란 등으로 민생의 안정이 위협받게 되었다. 관료 사회의 부패는 정상적인 국가 정책의 집행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권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은 과감한 개혁을 추진하게 된다. 흥선대원군은 중앙집권적 정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외척의 세도 정치를 일소하고 당쟁을 타파하며, 군제를 재정비하고 재정을 확보하기 위한 각종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두 차례의 양요(洋擾)를 겪으면서 서양의 침략에 적극적인 대응책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그 일환의 하나로 1872년(고종 9) 전국적인 지도 제작 사업이 전개되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는 조선시대 관찬지도 제작 사업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되는 총 459매의 1872년 지방 지도가 소장되어 있다. 이때 제작된 지도들은 군현 지도뿐만 아니라 영(營)·진보(鎭堡)·목장(牧場)·산성(山城) 등을 그린 지도까지 포함하고 있어 한 시기에 제작되어 수합된 지방 지도로는 가장 많은 양을 보유하고 있다.

1872년 지방 지도는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제작되어 수합되었기 때문에 통일적인 제작 원칙 하에 체계적으로 그려지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전 시기의 지도보다 큰 규격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지도에 들어 있는 정보량은 현재 남아 있는 다른 군현 지도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풍부한 편이다.

[제작발급경위]

1866년(고종 3) 병인양요와 1871년(고종 8) 신미양요 사건 이후 흥선대원군은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군제 개편, 군사 시설의 확충과 경비의 강화, 군기(軍器)의 정비와 실험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지방에 대한 실정 파악은 시급한 과제였고, 이를 위해 1871년에는 전국적인 읍지 편찬 사업을, 이듬해인 1872년에는 전국적인 차원의 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공주목 지도(公州牧地圖)」는 전국적인 지도 제작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충청도 지역 53장의 지도 중 한 장이다.

[형태]

「공주목 지도」는 수묵으로 그린 낱장의 채색 지도로 1872년 제작된 충청도의 군현 지도 가운데 지도의 제목이 표기되지 않은 유일한 지도이다.

[구성/내용]

「공주목 지도」에는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신풍면, 정안면, 사곡면, 우성면, 의당면, 장기면, 반포면, 계룡면, 이인면, 탄천면 일대가 표시되어 있다. 「공주목 지도」의 왼쪽에는 산천(山川)·도리(道里)·창고(倉庫)·사찰(寺刹)·시장(市場)·고분(古墳) 등의 지지(地志) 항목이 기재되어 지도와 지지가 결합된 전형적인 사례이다. 동서남북의 글자로써 방위를 표시하였는 데 남쪽을 지도의 상단으로 배치하였다.

산천의 표현은 다른 군현 지도보다 회화적 성격이 강한데 계룡산(鷄龍山)을 비롯한 산은 수목까지도 그려 넣었고, 강 연안의 절벽과 사찰의 건물 모양, 심지어는 강에 떠다니는 배를 그리기도 하였다. 충청도의 감영(監營)과 우영(右營)이 있었던 읍치에는 지붕 모양을 그려 넣어 인구가 밀집해 있음을 나타내었다. 다른 지도와는 달리 해당 지역에 동리명(洞里名)이나 호구 수를 기입하지 않고 단지 면명(面名)만을 표기하였다.

도로는 황색의 쌍선으로 표시하였고, 다른 군현에서는 ‘점(店)’으로 표시된 주막이 그려져 있다. 또한 좌측의 지지 항목에는 13곳의 시장(市場)이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나 지도상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고지도에서는 모든 사항이 반드시 표현되는 것이 아니고, 선별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읽는데 주의해야 한다. 지도 제작자의 의도와 지도 이용의 목적 여하에 따라 표현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의의와 평가]

「공주목 지도」는 공주 지역 고지도로서는 가장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는 유일한 단독 지도로 관아 등 행정 관련 사항과 창고·사창 등의 경제적 기구가 상세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