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0466 |
---|---|
한자 | 公州府 |
영어음역 | Gongjubu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윤용혁 |
[정의]
1895년(고종 32) 충청남도 공주를 중심으로 편성된 행정 구역.
[내용]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을 계기로 지방 행정 제도에도 대대적인 개편이 이루어졌다. 1895년 5월 26일 칙령 제98호에 의하여 8도제가 폐지되면서 전국을 23부로 개편하고 목·군·현 등으로 구별되던 군현을 모두 군으로 통일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충청도는 공주부(公州府)·홍주부(洪州府)·충주부(忠州府)로 분할되었다.
공주부는 예하에 공주군·연기군·은진군·연산군·석성군·부여군·노성군·옥천군·문의군·회덕군·진잠군·평택군·보은군·회인군·영동군·청산군·황간군·청주군·전의군·목천군·천안군·직산군·안성군·진위군·양성군·진산군·금산군의 27개 군을 관할하였고, 부의 장관으로는 관찰사가 파견되었다. 이는 종래의 도가 지나치게 광역으로 구성되어 있던 것을 분할한 정책이었다. 그러나 역사적 전통을 무시한 인위적인 분할로 인해 제도 운영상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변천]
1896년(고종 33) 8월 칙령 제36호에 의하여 13도제 실시로 1년 여 만에 부제가 폐지되고 충청도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조정되었다. 이에 따라 공주부는 홍주부와 통합하여 37개 군이 충청남도 관할이 되면서, 공주군에 충청남도의 도청을 두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