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652 |
---|---|
한자 | 鷄龍山招魂閣址 |
이칭/별칭 | 숙모전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789번지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금윤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7년 7월 4일 - 계룡산초혼각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18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계룡산초혼각지 충청남도 기념물 재지정 |
성격 | 사당 터 |
지정면적 | 3,154㎡ |
소재지 주소 |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789번지 |
소유자 | 동학사 |
관리자 | 숙모회 |
문화재 지정번호 | 충청남도 기념물 |
[정의]
조선 전기 단종(端宗)을 받들던 충신과 열사들의 혼령을 제사지내던 건물 터.
[개설]
1456년 (세조 2)에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이 이곳에 제단을 마련하고 초혼제(招魂祭)를 올렸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 후 나라에서 단종·안평대군 등의 종실 인물과 김종서·황보인 등 당시 죽음을 당한 280여 충신과 열사들의 위패를 모시도록 한 초혼각(招魂閣)을 세웠던 곳이다,
[위치]
계룡산초혼각지는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 동편에는 숙모전(肅慕殿)과 삼은각(三隱閣), 동계사(東鷄祠)가 위치하고 있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세조 2년에는 단종 복위를 준비하던 사육신들이 세조에 의해 죽음을 당하게 되었고, 노량진에 버려진 이들의 시신을 아무도 거두는 이가 없었는데 김시습이 몰래 노량진에 암장하고 동학사에 돌아와 삼은각 옆에 단을 만들어 사육신에 대한 초혼제를 지내니, 이 초혼단이 오늘날 숙모전(肅慕殿)의 효시이다.
[현황]
1977년 7월 4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이 초혼각 터에는 숙모전(肅慕殿)으로 이름을 바꾼 사당이 새로이 건립되어 초혼 봉향의 역할을 계속하고 있으며, 1963년부터는 계룡산초혼각지와는 별도로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67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단종을 향한 충혼을 위로하고자 건립된 초혼각 터를 충청남도에서 기념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특히 이 터는 전통시대 불사이군(不事二君)의 기개로 사절(死節)해 간 충신열사들을 공주지역의 유림과 불교계가 합동으로 봉행하였다는 점에서, 또한 위로는 국왕에서부터 노비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은 정성으로 초혼하던 건물이 있던 곳이라는데서 유교적 가치관이 극명하게 드러난 곳으로 평가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