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300
한자 鴨村洞鴨村-群
영어공식명칭 Apchon Dolmen in Apchon-dong
이칭/별칭 광주 압촌동 압촌 고인돌 가군,광주 압촌동 압촌 고인돌 나군,광주 압촌동 압촌 고인돌 다군,광주 압촌동 압촌 고인돌 라군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강진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재지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 가군 -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압촌마을 37-1|산 23-1지도보기
소재지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 나군 -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압촌마을 291-1|산 29지도보기
소재지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 다군 -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7-2 지도보기
소재지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 라군 -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산 19 지도보기
성격 분묘
양식 고인돌
크기(높이,지름) 가군|1호: 680㎝[길이]|390㎝[너비]|120㎝[두께]|2호: 260㎝[길이]|180㎝[너비]|80㎝[두께]|3호: 180㎝[길이]|120㎝[너비]|75㎝[두께]|나군|1호: 195㎝[길이]|135㎝[너비]|60㎝[두께]|다군|1호: 350㎝[길이]|330㎝[너비]|190㎝[두께]|2호: 170㎝[길이]|150㎝[너비]|55㎝[두께]|라군|1호: 180㎝[길이]|130㎝[너비]|50㎝[두께]|2호: 170㎝[길이]|160㎝[너비]|60㎝[두께]|3호: 280㎝[길이]|170㎝[너비]|95㎝[두께]

[정의]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위치]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군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장흥고씨 문중 산사면, 송학산 남동쪽 고갯마루 도로변, 송학산과 제봉산 사이 고갯마루를 넘어가는 소로변 등에 군집을 이루어 분포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은 1974년에 1기가 조사되었다. 1990년 조사에서 압촌마을 고인돌(1) 18기가 새롭게 확인되었고, 기존 압촌마을 고인돌압촌마을 고인돌(2)로 명칭이 바뀌었다. 고인돌은 장흥고씨 문중 산 경사면에 남북 방향 1열로 분포하였으며, 압촌마을 고인돌(1) 중 1기는 도굴된 상태였다. 대표적인 고인돌은 1호로 덮개돌 규모가 길이 680㎝, 너비 390㎝, 두께 120㎝로 가장 크며, 덮개돌 아래로 굄돌 9매가 있다. 압촌마을 고인돌(2)도 덮개돌 아래로 굄돌 3매가 확인되었다.

그 후 1996년 조사에서 압촌마을 고인돌(1)은 압촌 고인돌 가군, 고인돌(2)는 압촌 고인돌 나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기수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2004년 조사에서는 명칭은 유지가 되었으나 가군 기수가 1기로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나군은 2기가 추가되어 3기가 되었다. 가군 고인돌 기수가 급격히 줄어든 이유는 알 수 없다. 나군은 조사 당시 사진으로 볼 때 고인돌이 나란히 분포하는데, 최초 조사에서 이를 확인하지 못할 수 없다고 판단되며, 추가된 2기는 이동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2015년 조사에서 가군은 다시 5기로 늘었고, 나군도 4기로 늘었다. 이와 더불어 다군과 라군을 새롭게 찾았다. 다군은 송학산 남동쪽 고갯마루로 올라가는 도로 북편 밭에 2기가 있다. 1호 고인돌 덮개돌은 파괴되었으며, 2호 고인돌은 이동되었다. 라군은 압촌마을을 지나 송학산과 제봉산 사이 고갯마루를 넘어가는 소로변에 민묘를 둘러싸며 10기가 있다. 라군은 분포 양상으로 볼 때 민묘 조성 당시 이동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압촌마을 고인돌은 4개 군집으로 구성된 21기가 분포하고 있다.

[형태]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군 중 가장 규모가 큰 고인돌은 가군 1호이다. 덮개돌 규모가 길이 680㎝, 너비 390㎝, 두께 120㎝이며, 굄돌 9매가 덮개돌을 받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군은 4개 군집으로 이루어진 중형급 규모에 해당한다. 길이 600㎝ 이상 대형에 속하는 덮개돌도 확인되며, 전형적인 고인돌 모습도 관찰된다. 비록 일부가 이동되거나 훼손되었지만, 현재 상태라도 제대로 된 관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