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030 |
---|---|
영어공식명칭 | Baejae Pass |
이칭/별칭 | 백토재,백재,이치(梨峙)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금곡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전구간 | 배재 -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금곡동 |
---|---|
해당 지역 소재지 | 배재 -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금곡동![]() |
성격 | 고개 |
높이 | 약 269m |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과 금곡동을 연결하는 고개.
『한국지명총람』13-전남편의 금곡동에 “배재[梨峙]는 백톳재 밑에 있는 마을이고, 백톳재는 배재 서남쪽에서 화암동으로 가는 고개로 백토(白土)가 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화암(花岩)마을은 불바우로 불렸다는 설이 있고, 141번지에 화암동 화암 도자 가마터가 조사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자기소가 이첨(梨岾) 있다”고 하였다.
무등산 중봉에서 북쪽으로 내려선 능선은 늦재부터 원효봉을 거쳐 배재[269m]로 내려선다. 북동편 기슭은 충장사와 배재마을이고, 수계는 광주호이다. 남서편은 충민사와 화암마을이고, 수계는 석곡저수지이다.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5만분의 1 지형도』를 보면 광주군 석곡면 화암리와 석저면 이치리 간의 고개에 높이 269m가 표기되어 있다. 광주읍성과 경양역에서 동쪽으로 잣고개[尺峴][205m]를 거쳐 청풍삼거리에서 북구 금곡동과 충효동으로 가는 길목이다. 1975년 금곡동 1023번지에 김덕령[1567~1596] 사우 충장사가 건립되었고, 1983년 충장사에서 충효동 광주호 간의 도로 4.2㎞가 폭 7m로 확포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