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964
한자 樓亭
이칭/별칭 정자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영미

[정의]

사방을 볼 수 있도록 다락식으로 마룻바닥을 지면에서 한층 높게 만든 건축물.

[개설]

누정이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의 합성어로서, 정루(亭樓)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누정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樓)·정(亭)·당(堂)·대(臺)·각(閣)·헌(軒) 등을 일컫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특히 누각과 정자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접미사에 의해 그 명칭만이 구분되어 있고, 기능이나 형태로 확실히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누각과 정자를 명칭으로 구분하면, 시대적으로 사용자의 행태에 따라 누각은 고급 건축으로서 상류층에 의해 건축되며 누관(樓觀)이라고도 한다. 대개 높은 언덕이나 돌 혹은 흙으로 쌓아 올린 대 위에 세우기 때문에 대각(臺閣) 또는 누대(樓臺)라고도 한다. 정자는 누각에 비하여 규모가 작으며, 비교적 수수한 선비들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여겨진다. 정자는 누각에 비하여 작은 건물로서, 벽이 없고 기둥과 지붕만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놀거나 휴식할 장소로서 산수 좋은 높은 곳에 세우는데 정각(亭閣) 또는 정사(亭榭)라고도 한다. 사(榭) 또한 높은 언덕, 혹은 대 위에 건립한 집으로 정자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또 정자는 낮은 마루 구조인 반면, 누각은 정자에 비해 누하주(樓下柱)가 긴 건축을 말한다.

누정의 기능을 각각 구분하면, 먼저, 규모가 큰 누각은 첫째 공식적으로 손님을 접대하는 장소이고, 둘째 사람들이 출입하는 문루(門樓)의 장소이며, 셋째 경치를 즐기고 감상하는 장소였다. 그리고 정자는 첫째 주위 자연경관을 즐기며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고, 둘째 선비들의 풍류와 친교의 공간이며, 셋째 학문과 교육의 공간이고, 넷째 종중이나 마을 사람들의 모임이 열리는 장소였다. 누각은 규모가 크고 공적인 성격이 강한 반면, 정자는 왕실이든 양반 사대부든 사적인 용도로 이용되었다. 그런 점에서 누정의 기능과 역할은 크게 누각과 정자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누각은 대개 궁궐이나 관아, 서원·사찰 등에 부속 건물로 세워졌다. 궁궐의 누각은 경복궁의 경회루, 관아의 누각은 삼척의 죽서루와 함양 함화루, 서원의 누각은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와 함양 남계서원 풍영루, 사찰의 누각은 완주 화암사 우화루와 장성 백양사 쌍계루와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누각은 사방을 널리 바라볼 수 있도록 문과 벽 없이 다락처럼 높게 지은 집을 말한다. 정자도 사면을 벽 없이 터서 경관을 감상하도록 만든 집이라는 점에서 누각과 비슷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누각에 비해 낮고 규모가 작은 편이며, 공적인 용도보다는 사적인 용도로 지어진 집이라는 것이다. 더러는 방을 드린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누정이라 하면 삼척의 죽서루(竹西樓)·남원의 광한루(廣寒樓), 보길도의 세연정(洗然亭)·담양의 식영정(息影亭)같이 집의 이름에 ‘누(樓)’, ‘정(亭)’자가 들어간 것을 말한다.

이러한 누각과 정자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누정은 보편적으로 피서(避署)와 유락(遊樂), 시단(詩壇), 산수경관의 조망 등을 위하여 산수가 좋은 장소에 조영되는 간단한 건축물을 말한다. 누정은 많은 사람들의 시적 교유 현장임과 동시에 그 사회를 이끄는 담론이 형성되었던 곳이고, 후학을 양성하는 강학 공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화는 고려시대부터 생겨나, 조선시대에 발전해서 지금까지도 이어지는 문화의 큰 흐름이다.

[누정의 유형]

누정은 소유 주체에 따라 몇 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궁궐의 누정. 둘째, 관아의 누정. 셋째, 서원의 누정. 넷째, 사찰의 누정. 다섯째, 사대부의 누정이다. 누정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사대부의 누정은 그 위치와 성격에 따라 ① 원림 명승의 누정. ② 계곡 계류의 누정. ③ 강호 해안의 누정. ④ 마을 들녘의 누정. ⑤ 가옥의 누정으로 다시 분류된다.

[누정의 다양한 용어]

고려시대에는 누(樓)와 정(亭)의 명칭(名稱) 중 정(亭)이라는 명칭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에 누(樓)와 정(亭)을 어떻게 구분하여 불렸는지는 『동문선(東文選)』의 기록에서 그 실마리를 어느 정도 찾을 수 있다. 즉, 1367년 이달충(李達衷)[1309~1385]의 『관풍루기(觀風樓記)』나 1370년대에 이색(李穡)[1328~1396]이 쓴 『곡주공관신루기(谷州公館新樓記)』를 보면, 관사(官舍)의 정자(亭子)가 너무 낮고 습하여 불볕과 습기를 피하기 힘들며 우물 속에 들어앉은 것 같아 정자(亭子)를 누(樓)로 바꾸었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구조적으로 정(亭)은 낮고 누(樓)는 높다고 인식하였고, 누(樓)는 이층 중옥(二層重屋)을 지칭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누(樓)가 모두 관아용(官衙用)이기 때문에 일반민의 누정에서도 누와 정을 구분하여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누정을 의미하는 용어는 정자(亭子), 누각(樓閣), 정사(亭榭), 누대(樓臺), 누사(臺榭), 모정(茅亭) 등 다양하다. 또한, 누정과 관련된 건축물의 명칭은 정(亭), 누(樓), 각(閣), 대(臺), 헌(軒), 당(堂), 제(齋), 정사(精舍)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다. 누정(樓亭)이라는 명칭은 한자에서 온 말로 중국의 고서에 따르면 정(亭)은 ‘停’(정)과 같은 뜻으로 쓰여, 사람들이 머물러 가거나 모이는 곳이며 역정(驛亭), 우정(郵亭), 원정(園亭) 등은 모두 그와 같은 뜻을 지니고 있다. 고려시대 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사륜정기(四輪亭記)』에는 “나무판자를 쌓은 것을 대(臺)라 하고 겹으로 난간을 한 것을 사(榭), 집 위에 집을 지은 것을 누(樓)라 하며 사방이 탁 트이고 텅 비고 높다랗게 만든 것이 ‘정자(亭子)’라고 하였다. 사전적인 해석으로는 “누(樓)는 기둥이 층 받침이 되어 가운데 청(廳)이 높이 된 다락집, 각(閣)은 석축이나 단상(壇上)에 높게 세운 옥우(屋宇), 대(臺)는 사방을 관망하기 위하여 높게 한 지대(地臺) 또는 그 위에 지은 옥우(屋宇), 정(亭)은 산수의 경치 좋은 곳에 유연(遊宴)하기 위하여 세운 소옥(小屋)”이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로 보아 옛날이나 지금이나 그 뜻이 별로 달라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누정]

호남 지역에는 비교적 누정이 많이 남아 있으며,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지역에는 630여 곳 이상이 있다. 그동안 사라진 것까지 합치면 2,500여 곳에 이르는 누정이 세워졌다. 그중에서 근대에 세워진 누정이 전체 누정 수의 3분의 1이 넘는다. 이처럼 근대는 호남 누정 문화를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데도 그동안 역사가 오래지 않았다거나 잘 알려진 인물이 지은 경우가 아니었다는 이유 등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그래서 건립 연대가 오래되지 않은 많은 누정이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전라남도 지역에는 다양한 누정 문화가 발달하였다. 『신동국여지승람』에서 경상도에 263개소, 전라도에 170개소의 누정이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고려에서 조선 초기를 거치는 동안 경상도와 전라도에 누정이 집중적으로 세워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라도에서도 전라북도보다 전라남도에서 누정 건립이 활발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누정의 등장이 삼국시대였다고는 하지만, 전라남도 지역 누정은 고려 중기부터 살펴볼 수 있는데, 진도 벽파정, 순천 연자루, 나주 쌍계정, 광주 석서정, 경렴정, 담양 독수정 등이 있다. 광주의 경렴정 및 담양의 독수정은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라는 정권 교체기에 개인의 은거나 퇴휴를 목적으로 지어졌다는 점에서 다른 누정들이 공적인 의도에서 지어진 것과 차이가 난다. 즉, 공적인 색채가 강하였던 누정 건립이 사적인 영역으로 확장된 시점이다.

조선 중기에 들어서면서 민간에서 누정 건립이 활발해졌으며, 그 결과 누정 문화권으로 특징지어진 무등산과 그 인근의 소쇄원, 면앙정, 환벽당, 식영정, 송강정 등이 집중 분포하는 담양 지역에 집중적으로 건립되었다. 전라남도 담양은 한국 건축사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역이다. 조선의 15~16세기를 대표하는 호남 지역의 누정이라는 건축 유형이 유독 담양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지역은 건축, 역사, 조경 분야의 연구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이 답사하는 대표적인 곳이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