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강의 황쏘가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439
한자 漢江-黃-
영어음역 Namhangang Hwangssogari
영어의미역 Golden Mandarin Fish of South Han River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예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7년 7월 18일연표보기 - 한강의 황쏘가리 천연기념물 제19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한강의 황쏘가리 천연기념물 재지정
성격 민물고기
학명 Siniperca Scherzeri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색동물문〉농어목〉농엇과
서식지 한강 일부
몸길이 20~30㎝
새끼(알) 낳는 시기 5~7월
문화재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남한강 상류에 서식하는 농엇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형태]

몸길이는 20~30㎝, 체형은 쏘가리와 흡사하나 더 측편(側偏)되었다. 몸 빛깔은 황금색이고, 등지느러미는 가시와 살이 12~13개씩 서로 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에 비하여 훨씬 짧고 꼬리지느러미는 갈라지지 않는다. 치어 때에는 쏘가리와 같은 반문(斑紋)이 나타나지만, 성장하면서 흐려져서 성숙한 후에는 짙은 황금색의 채색에 덮여 흔적만 남는다. 그러나 포르말린 처리 후에는 반문이 다시 나타난다.

황쏘가리는 잉어에 대한 금잉어의 경우와 같이 쏘가리의 변종으로 보이며, 쏘가리의 계통 발생 과정에서 돌연변이종으로 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생물학적으로 조사하면 황쏘가리와 쏘가리 등은 다 같이 2n=48이며 핵형도 같다. 그렇다면 돌연변이종으로 출현한 최초의 황쏘가리와 다른 쏘가리의 사이에 자유롭게 교잡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현재도 양자의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양자의 중간형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좋은 증거가 될 것이다.

[생태 및 사육법]

황쏘가리는 세계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한국 특산종으로 우리나라 거의 모든 하천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팔당호, 광나루, 청평원, 소양강 및 남한강 상류 등 한강 일대와 임진강 수역 등이 지금까지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분포 상황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한강 전체에서 발견되나, 북한강 파로호에 가까울수록 개체 수가 많고 멀어질수록 적다. 이 점으로 보아 황쏘가리는 북한강 수계의 어느 한 곳에서 출현하였을 가능성이 크며, 여기서 점차 다른 곳으로 퍼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제천을 비롯한 충청북도에서는 여러 하천들의 중·상류 지역에 분포한다.

현재 대표적인 황쏘가리의 서식지로 알려진 곳은 광나루 부근에서부터 북한강의 의암호·춘천호·파로호까지이고, 남한강 수계는 하류에는 양평·여주·충주 목계리 등과 상류에는 제천시 한수면·청풍면, 단양군 단양읍·대강면·영춘면, 영월군 동강 및 서강 등지이다. 남한강에서 서식하는 각종 물고기 중에서 희귀종으로 인정되고 있다.

산란기는 5월 하순부터 7월 상순으로 유속이 빠르지 않고 깊이가 30~70㎝ 되며 바닥에 자갈이 깔린 곳에서 밤에 산란한다. 수정란은 6~7일이면 부화하며, 2개월이 지나면 7㎝ 내외로 성장하여 어미 물고기와 같은 형질을 갖춘다. 수명은 20년 정도이며, 쏘가리보다 생명력이 강하여 망치로 머리를 때렸을 때 쏘가리는 1회로 바로 죽지만 황쏘가리는 2~3회 해도 소생하는 때가 있을 정도이다.

[현황]

1967년 7월 18일 천연기념물 제19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하지만 지금도 고가로 매매되고 있는 까닭에 남한강 황쏘가리는 오히려 자원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충주댐을 건설하기 이전에 남한강 상류 청풍강 유역에 수심이 깊은 청풍면 황석리 두멍소 등지에 무리지어 서식했으나 청풍호의 수심이 깊어지고 생태계 교란으로 먹이사슬이 단절되면서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하루 속히 보존에 힘을 쏟아야 하며, 아울러 황금색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어로 육성하는 것도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