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638
한자 連論里洞祭
영어음역 Yeonnon-ri Dongje
영어의미역 Yeonnon-ri Village Ritual
이칭/별칭 연론리 호무실 서낭제,연론리 서낭고사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연론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연론리 지도보기
성격 마을 신앙|서낭제|당고사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초
신당/신체 수목|돌탑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연론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연론리 동제는 제천시 청풍면 연론리 호무실마을의 중앙에 있는 수목과 돌무더기에서 음력 정월 초순 중에 길일을 택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이를 연론리 호무실 서낭제, 연론리 서낭고사 등이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연론리는 수몰 전에 동제[마을고사]를 서낭제와 당고사로 구분하여 지냈다. 서낭제는 미사리재를 중심으로 1반에서 3반까지의 주민들이 모여 신목으로 숭앙하던 소나무에서 올리는 동제이고, 당고사는 4반에서 7반 주민들이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음력 정월 초에 지냈던 당고사이다. 현재 4반에서 7반까지 주민들이 지내던 당고사는 중단되었고, 서낭제는 호무실을 중심으로 계승되고 있다.

1반에서 3반 주민들이 지내던 당고사는 매년 음력 정월 초 마을 회의에서 길일을 택해 지냈다. 제일을 정하고, 생기복덕을 가려 제관과 축관을 선출했다. 제수 마련은 제관이 하는데, 그때 당시의 제물은 포, 떡, 정한수 등으로 제관이 담당하여 마련하고 진설했다.

호무실을 중심으로 올리는 서낭제도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예전에는 서낭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금기를 철저히 지키고, 제관과 축관으로 선출된 사람들도 부정과 금기를 철저히 하였다. 그러나 시대가 변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강조는 약화되는 추세이고, 주민 수가 줄어들면서 선출이 아닌 유사제로 제관을 맡고 있다. 또한 제수 마련도 약식으로 간소화되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연론리 서낭제장은 연론리 1반에서 3반과 4반에서 8반을 나누던 경계인 미사리재의 커다란 느티나무이다. 이 오래된 느티나무를 마을 주민들은 서낭목이라고 부른다. 이 서낭목 옆에 돌을 쌓아 놓고 그 주변에는 소나무를 여러 그루 심어 제장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제장의 형태는 수목과 돌탑이 어우러진 자연형이다.

[절차]

연론리 동제는 음력 정월 초 택일한다. 제일을 택일하면서 제관인 제주를 선출한다. 수몰 후에는 주민 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유사 자격으로 돌려가며 제를 올리는 실정이다. 제일의 택일은 절대 보름을 넘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사 준비는 선출된 제주와 유사가 도맡아 하고, 이장이 축관 및 보조자 역할을 수행하여 제를 올린다.

제수는 돼지머리, 북어포, 삼색실과, 메 등이다. 제수 마련도 주민 수가 많을 때는 제관이 직접 준비하고 필요한 것을 시장에서 구입하였으나 지금은 시장에서 살 수 있는 것은 구입해서 마련한다.

제의 순서는 간소화된 유교식 절차에 따라 재배, 헌작, 독축, 소지 순으로 진행된다. 제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음복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