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진주 담산고택 창주집 목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3300
한자 晋州澹山古宅滄洲集木板
영어의미역 Works of Changju Collected by Damsan House in Danmok-ri, Jinju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746지도보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7월 1일연표보기 - 진주 담산고택 창주집 목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진주 담산고택 창주집 목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성격 책판
관련인물 하징
소장처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746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에 있는 책판.

[개설]

이 책판의 저자 창주(滄洲) 하징(河澄)[1563~1624]은 정인홍의 문인으로 남명 조식의 제자들에게 인정을 받아 1606년에는 덕천서원의 원장으로 역임하였으며 남명의 작품을 간행하는 것을 주도하였으며 1620년에는 『진양지』를 최초로 편찬하였다.

[제작발급경위]

창주집 책판은 1897년 12월에 진주의 오방제에서 목활자로 간행되었던『창주선생유사서』를 10년 뒤인 1907년 1월에 당시 노론 학자의 종장이었던 전우의 서문을 받아 후손 담산 하우식이 연보를 만들어 1939년 이를 추가하여『창주선생문집』으로 이름을 바꾸어 간행한 것이다.

[구성]

광곽의 사방 둘레가 두 줄로 되어 있으며 사주쌍변 광곽의 크기는 31.8×18.9㎝이며, 행마다 경계선이 있고 반곽이 10행으로 되어 있으며 매행 18자로 되어 있다.

총 63매 98판이며 내용은 아래와 같다.

서문은 3매 5판이고, 목록은 1매 2판(제1판 망실)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13매 20판(3·6·7·14·15·20판은 한 면에만 새겨져 있음), 2권은 5매 8판(1·6판은 한 면에만 새겨져 있음), 3권은 9매 18판(7·8판 망실, 9판은 중복, 19판의 후면은 유사서문 제1판임), 4권은 5매 9판(5·6판 망실, 11판은 후면에 새기지 않았음), 5권은 22매 28판(3·4판, 11·12판, 22·23판은 망실되었으며, 15판부터 34판까지 17매 가운데 31·32판만 앞뒤로 새겼고 나머지는 한 면에만 새겼음)으로 되어 있다.

유묵(遺墨)은 3매 5판(5판은 후면에 새기지 않음, 망실 없음), 후지(後識)는 1매 2판(망실 없음), 발문은 1매 1판(망실 없음)으로 되어 있다.

[내용]

서문에는 전우(田愚)[1841-1922]의 『창주선생문집서』와 송근수[1818~1902]의 『창주선생유사서』가 책의 머리에 실려 있다.

발문에는 후손 현원, 계룡, 종식이 정유년 11월에 찬한 후지(後識)와 정유년 4월에 찬한 송종오의 제발이 책의 끝에 실려 있다.

목활자본 『창주선생유사』에 “정유년(1897) 섣달에 오방재(梧坊齋)에서 활판으로 인쇄하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이 때 『창주선생유사』가 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송산 권재규가 찬한 『연보후제』가 기묘(1939)년7월에 쓰인 것으로 보아, 1907년 정월에 받은 전우의 서문과 세전(世傳)하던 선계유묵(先系遺墨)을 추가하여 이 무렵에『창주선생문집』으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창주집 책판은 비교적 근래에 간행되었고, 이 책판에 의해 간행된 책은 많지만 이 책판은 하나 밖에 없는 자료이므로 중요하다. 2004년 7월 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3.03.25 [개설] 수정 <변경 전> 하징(河澄) <변경 후> 하증(河憎)
2011.08.22 2011년 한자 재검토 작업 1) 후식(後識)은 1매 2판(망실 없음), 발문은 1매 1판(망실 없음)으로 ->후지(後識)는 1매 2판(망실 없음), 발문은 1매 1판(망실 없음)으로 2) 발문에는 후손 현원, 계룡, 종식이 정유년 11월에 찬한 후식과 ->발문에는 후손 현원, 계룡, 종식이 정유년 11월에 찬한 후지(後識)와 3) 『연보후제』가 기묘(1939년) 7월에 쓰인 것으로 보아 ->『연보후제』가 기묘(1939)년 7월에 쓰인 것으로 보아 4) 세전(世傳)하던 선계유묵(先契遺墨)을 추가하여 ->세전(世傳)하던 선계유묵(先系遺墨)을 추가하여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진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3.25
s******* 하징을 하증으로요청 2013.03.23
s******* 하징을 하증으로 수정요청. 2013.03.2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