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1384 |
---|---|
이칭/별칭 | 「장절골」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장재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광 |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장재리의 장절터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1988년 연기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연기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1987년 8월 금남면 장재리에서 사재동이 수집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내용]
장재리 집골을 올라가면 부처샘을 에워싸고 펀펀한 절터가 있다. 이 절은 창건 당시에는 번창하였으나 노 승려가 열반(涅槃)하고, 젊은 승려들의 부적절한 운영으로 신도들에게 신임을 잃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절 안팎에 빈대들이 꼬여서 신도와 승려들을 물어뜯었다. 승속(僧俗)[승려와 일반 속인] 간에 판단하기를 이것은 우리가 죄를 지어 하늘이나 부처가 내리신 벌이라고 믿고 절을 불태웠다. 그러나 절을 태워도 살아남은 빈대들은 산으로 가기도 하였지만 주류는 떼를 지어 일본으로 갔다고 한다. 이때 일본으로 간 빈대는 원수를 갚겠다며 왜인으로 환생하여 줄곧 우리를 괴롭혀 왔고, 산에 있는 빈대들은 어렵게 대를 이어서 지금도 장재리 절터의 돌을 떠들어 보면 빈대가 나온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장절터」의 주요 모티프는 ‘절터의 빈대’이다. 이야기는 한때 번창하던 큰 절의 흥망성쇠를 통하여 우리 삶의 교훈을 주고 있다. 이처럼 우리 설화에는 불교가 토착화되어 지명이 사찰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장재리가 ‘장절’로 불리는 사례에서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