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1225 |
---|---|
한자 | 海月寺 |
영어음역 | Haewolsa |
영어의미역 | Haewolsa Temple |
이칭/별칭 | 삼길암,삼길사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60-3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조경철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726년 - 목조관음보살좌상 제작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3년 10월 30일 -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 유물 일괄이 충청남도 유형 문화재 제172호로 지정 |
최초 건립지 | 산길사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
현 소재지 | 해월사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60-3 |
성격 | 사찰 |
전화 | 041-663-7328 |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 수덕사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백제 때 창건된 절이라고 하나 확인할 수 없다. 1619년 한여현(韓汝賢)이 편찬한 『호산록(湖山錄)』에는 산길사(山吉寺)라고 하였다. 1726년 원통전에서 목조관음보살좌상이 제작되었으며, 원통전에 「삼길산 해월암 중수기」라는 현판이 걸려 있어 조선 후기까지는 해월암이라고 불렀음을 알 수 있다. 평신진(平薪鎭)에 부임해 오는 첨사(僉使)들의 단가(檀家) 역할을 해온 까닭에 지금도 이곳에는 첨사들이 쓴 편액(編額)이 남아 있다. 후에 삼길산의 이름을 따 삼길암이라 하였으며 근래 삼길사로 바뀌었다가 현재 해월사로 불리고 있다.
[현황(조직, 시설 현황 포함)]
건물로는 원통전, 산신각, 요사채가 있다. 원통전에는 아미타불이 모셔져 있다.
[관련 문화재]
수덕사 근역성보박물관에는 2003년 10월 30일 충청남도 유형 문화재 제172호로 지정된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이 소장되어 있다. 복장 유물로는 복장 발원문 1점, 보협인다라니 3점, 오륜종자진언 4점, 관음주 관련 다라니 3점, 후령통 1점, 후령통 보자기 1점, 오보병 5점 등이다.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발원문을 통해 조성 연도, 조성 사찰과 화원 등의 이름이 밝혀진 불상으로서 18세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어 불교 미술사적, 학술적 가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