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0426 |
---|---|
한자 | 詠歸亭址 |
영어의미역 | Yeonggwijeong Pavilion Site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유적/터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금매리 |
집필자 | 정상수 |
성격 | 정자 터 |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금매리에 있는 건립 연대 미상의 정자 터.
정자(亭子)는 산수의 좋은 경치를 감상하며 놀이를 하기 위해 세운 작은 집을 통칭한다. 정자는 평면 형태에 따라 사모정[사각정], 육모정[육우정 또는 육각정], 팔모정[팔각정 또는 팔우정], 선자정[부채 모양] 등으로 구분되며, 지붕의 재료에 따라 모정(茅亭)[짚, 억새 등으로 지붕을 이은 정자], 초정(草亭)[볏짚이나 갈대 등으로 지붕을 이은 정자] 등으로 나눈다. 또 층수에 따라 누정, 누각, 층루 등으로 구분된다.
영귀정은 매화면 금매리 몽천동 소지 위에 있었으나 철거되었다.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며, 『논어』에서 “차가운 맑은 물에 목욕하고 구름이 울렁거리는 높은 대에 올라 바람이나 쏘이며 시 한 곡 읊고 돌아오고 싶다”라는 구절에서 따와 영귀정이라 하였다.
영귀정이 있던 매화면 금매리 몽천동에 작은 연못만 남아 있을 뿐이다.
울진군 곳곳에 있는 많은 누정과 당(堂)·각(閣), 그리고 그것이 있던 터가 훼손되고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으므로 하루빨리 복원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