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0428 |
---|---|
한자 | 宛在亭址 |
영어의미역 | Wanjaejeong Pavilion Site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유적/터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왕피리 포전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상수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왕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터.
정자(亭子)는 산수의 좋은 경치를 감상하며 놀이를 하기 위해 세운 작은 집을 통칭한다. 정자는 평면 형태에 따라 사모정[사각정], 육모정[육우정 또는 육각정], 팔모정[팔각정 또는 팔우정], 선자정[부채 모양] 등으로 구분되며, 지붕의 재료에 따라 모정(茅亭)[짚, 억새 등으로 지붕을 이은 정자], 초정(草亭)[볏짚이나 갈대 등으로 지붕을 이은 정자] 등으로 나눈다. 또 층수에 따라 누정, 누각, 층루 등으로 구분된다.
완재정은 1860년을 전후하여 국농(菊農) 최훈(崔勳)이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금은 완재정이 있었다는 장소만 전해질 뿐 아무런 흔적도 찾아볼 수 없다. 정자 이름은 최훈이 ‘첩첩 산을 왕피천 맑은 물이 굽이쳐 흐르는 언덕 위에 서성거리며 쉬는 장소’라는 뜻으로 완재정이라 지었다.
울진군 곳곳에 있는 많은 누정과 당(堂)·각(閣), 그리고 그것이 있던 터가 훼손되고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으므로 하루빨리 복원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