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0997 |
---|---|
한자 | 蔚珍佛影寺神衆幀 |
영어의미역 |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in Buryeongsa Temple |
이칭/별칭 | 「불영사 신중도」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하원리 122[불영사길 48]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수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0년 4월 5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울진 불영사 신중탱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회화(탱화) |
제작시기/일시 | 1860년![]() |
제작지역 | 불영사 |
작가 | 선의(善儀)|편수(片手)|관행(瓘幸)|창위(暢爲)|창교(暢敎) |
서체/기법 | 마본채색 |
소장처 | 불영사 |
소장처 주소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하원리 122[불영사길 48]![]() |
소유자 | 불영사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
경상북도 울진군의 불영사 대웅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 불교 신중을 소재로 그린 불화.
울진 불영사 신중탱화은 울진군 불영사 대웅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탱화이다. 신중(神衆)은 인도의 재래적인 토속신으로 불교의 토착화 과정에서 수용된 불교의 호법신들인데, 이처럼 별도로 그림을 그려 신앙의 대상을 삼기도 하였다.
울진 불영사 신중탱화은 214×224㎝의 크기로 상단에 좌우로 2불을 모시고 주위에 천상중(天上衆)을 배치하였다. 하단의 중앙부에 날개 달린 투구를 쓴 동진보살을 모시고 그 주위에 신장상을 배치하였는데, 화면의 초점은 동진보살로 모아져 있다.
화기(畵記)에 의하면 이 신중도는 1860년(철종 11)에 금어(金魚)[불상을 그리는 사람] 의운자우(意雲慈友)와 선의(善儀)를 비롯하여 편수(片手)·관행(瓘幸)·창위(暢爲)·창교(暢敎) 등이 관여한 작품이다.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며, 화면에 기록된 글도 선명하여 조선 후기 불교 회화사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학술 자료의 가치를 지닌다. 2010년 4월 5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2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