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1282 |
---|---|
한자 | 劎城里- |
영어의미역 | Magpie Hole House in Geomseong-ri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검성리 내골마을 |
시대 | 근대/근대 |
집필자 | 백영흠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검성리 내골마을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전통 가옥.
검성리 까치구멍집은 지붕 용마루의 양쪽 합각에 둥근 구멍이 있는데, 공기의 유통을 위하여 낸 둥근 구멍이 까치둥지를 닮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경상북도 북부 지역 산간촌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의 집으로, 마구간을 비롯한 모든 편의시설을 집 안으로 끌어들인 것이 특징이다. 까치구멍집은 태백산맥 일대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안동·영양·청송·영덕·울진·봉화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일종의 겹집 모양으로 ㅁ자형의 집이 축약된 듯한 폐쇄형 가옥이다.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검성리 상금성마을을 벗어나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그곳에서 서쪽의 내성골로 들어가다 보면 천변에 검성리 까치구멍집이 보인다.
내성골의 가장 안쪽에 자리 잡은 남동향 가옥으로 ‘을사12월25일견주상량(乙巳十二月二十五日堅柱上樑)’이란 상량문이 남아 있어 1929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빈집으로 거주자가 살고 있지 않다.
검성리 까치구멍집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까치구멍집으로, 지붕은 슬레이트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은 전후열로 배치된 봉당과 정지를 중심으로 우측에는 마구와 뒤주를 배치하고, 좌측에는 샛방·마루와 큰방을 배치한 후 연접하여 사랑방과 도장을 배치하였다.
전면 중앙의 두 짝 널문을 열고 들어서면 봉당의 우측으로 마구가 있고, 뒤로는 정지로 이어진다. 정지 우측에는 장마루를 깐 뒤주가 있으며, 봉당과 마구 사이의 벽을 없애고, 위에 다락을 두었다. 큰방의 전면은 1칸 샛방과 반 칸 앞마루로 꾸며져 있으며, 큰방의 배면에는 세살문을 달고 쪽마루를 두어 뒷마당으로 드나들도록 하였다.
큰방은 마루 칸의 샛벽에 세살문을 달아 출입하였으며, 큰방 문 앞마루 밑에는 화터가 있다. 마구 옆 처마 밑에는 두 칸으로 꾸민 변소가 있다. 사랑방은 한 칸 반 크기이며, 뒤쪽에서 큰방에 드나들도록 문을 낸 동장 반 칸이 있다. 또 사랑방 전면과 측면, 샛방의 전면에 쪽마루를 설치하였다. 가구는 자연석 기단 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아 네모기둥을 세운 3량 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