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1552 |
---|---|
한자 | 古山城-傳說 |
영어의미역 | Legend of Gosanseong Fortress Walls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고성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남경 |
성격 | 설화 |
---|---|
주요 등장인물 | 왜병|장응채 |
관련지명 | 고산성 |
모티프유형 | 임진왜란과 관련된 유형의 민담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에 있는 고산성(古山城) 관련 설화.
1998년에 울진문화원에서 간행한 『울진의 설화』에 채록 내용이 실려 있으며, 2006년에 울진군청에서 간행한 『울진군지』에도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고산성(古山城)은 1556년(명종 11)에 울진읍성(蔚珍邑城)으로 수축한 곳이다. 임진왜란 때 왜병이 침입하여 수일 동안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러자 왜병들은 계획적으로 산성 건너편 마을 가원동(佳原洞)에 노래판을 벌려 놓고, 무월동(舞月洞)에서는 달밤에 춤을 추게 하여 성안(城安)에 있던 아군들의 시선과 주의력을 두 마을로 돌리고 산성 북문을 기습했다. 왜군이 아군을 참살하고 함락하니 유혈이 산천에 낭적(狼籍)하였다. 이 일은 숱한 애화(哀話)를 남겼다.
전설에 의하면 성(城)이 폐허가 된 지 150여 년 후에 검술이 능숙한 울진장씨 장응채(張應彩)가 성터에 와가(瓦家)를 지어 살게 되었는데, 주인 장씨만 없으면 밤마다 전쟁 때 죽은 원혼들이 꿈에 나타나고 말발굽 소리가 나서 가족들을 불안케 하였다. 그 뒤 가족들이 불안을 느껴 근남면 행곡리 천전(川前)마을로 이주를 하였다고 한다.
설화의 기본 모티프는 지명설화 및 전쟁설화와 관련이 있다. 지형이 전쟁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끈 것과 관련된 유형의 설화이다. 이와 관련된 설화로 전라남도의 「노적봉 설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