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1626 |
---|---|
한자 | 七寶山- |
영어의미역 | Folk Tale of Chilbosan Mountain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1리 |
집필자 | 김남경 |
성격 | 지명유래담 |
---|---|
주요 등장인물 | 매|보배 |
관련지명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1리 |
모티프유형 | 산의 형국|지명 유래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1리에서 칠보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칠보산 이야기」는 매가 보배를 안고 막 하늘로 날아오르는 형국을 이룬다고 하여 이름을 붙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경기도 화성군에 있는 칠보산에도 전해진다. 화성군의 칠보산 전설에는 옛날부터 8개의 보물[산삼, 맷돌, 잣나무, 황계수닭, 범절, 장사, 금, 금닭]이 숨겨져 있었으나 어느 때인가 한 개의 보물인 금닭을 누군가 가져가 칠보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1998년에 울진문화원에서 간행한 『울진의 설화』에 채록 내용이 실려 있다.
울진군 북면 부구1리에 위치한 칠보산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산은 매봉산[일명 응봉산(鷹峰山)] 한 줄기 끝에 동해로 바라보는 옛 흥부장터의 뒷동산이다. 매가 보배를 안고 막 하늘로 날아오르는 형국을 이룬다고 하여 이름 지었다는 전설이 있다. 옛날부터 칠보산은 7가지 보배를 뜻한다고 전해진다.
「칠보산 이야기」의 기본 모티프는 산의 형국과 풍수지리형 지명 유래이다. 한국인은 땅속을 흐르는 생기(生氣)가 모인 곳을 명당이라고 하는데, 거기에 집을 짓거나 묘를 쓰면 발복한다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