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495
한자 瓦水里發見埋藏文化財申告遺物
영어공식명칭 Artifacts Founded in Wasu-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5리 496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박경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청동기 시대 -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제작
출토|발굴 시기/일시 1985년 12월 16일 -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채집
이전 시기/일시 1987년 2월 13일 -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국립중앙박물관 이관
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168-6]
출토|발견지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5리 496 지도보기
성격 석기|간돌 유물
재질 옥석
크기(높이,길이,너비) 13.1㎝[홈자귀 길이]|3.9㎝[홈자귀 너비]|15.0㎝[반달돌칼1 길이]|4.5㎝[반달돌칼1 너비]|11.6㎝[반달돌칼2 길이]|3.7㎝[반달돌칼2 너비]|15.5㎝[반달돌칼3 길이]|4.9㎝[반달돌칼3 너비]
소유자 국유

[정의]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서 채집된 청동 기 시대 간돌 유물.

[개설]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서 채집된 간돌 유물 4점으로, 철원 지역 청동기 시대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1985년 12월 16일 주민 이대겸이 홈자귀 1점, 반달돌칼 3점을 채집하여 신고하였으며 1987년 2월 13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하였다. 홈자귀는 전체적으로 배 모양을 하고 있고, 머리 부분의 중앙에는 결구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마모된 흔적이 관찰된다. 반달돌칼 3점 가운데 2점은 완형에 가까우나 1점은 측면 일부가 결실되었다.

[형태]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중 홈자귀의 배 부분 날은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띠고 있고, 등부분 날은 약 30도의 각도를 띠고 있다. 머리 부분은 등 부분과 각지게 연결되도록 만들었다. 반달돌칼1은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쳐 구멍 2개가 투공되어 있다. 한쪽 방향에서만 매우 예리한 날을 세운 것이 특징이며, 3점의 반달돌칼 가운데 가장 상태가 양호하다. 사용 흔적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반달돌칼2는 많은 사용으로 인하여 중앙 부분이 움푹 들어간 형태를 띠고 있다. 전체적으로 반달 모양이 무뎌져 수평에 가까운 형태를 띠고 있다. 왼쪽 날 부분은 대부분 결실되었다. 반달돌칼3은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쳐 구멍 2개가 투공되어 있다. 날 부분은 등 부분과 평행하게 수평을 이루고 있다. 왼쪽 날 일부가 결실되었다. 홈자귀는 길이 13.1㎝, 너비 3.9㎝이다. 반달돌칼1은 길이 15.0㎝, 너비 4.5㎝이며 반달돌칼2는 길이 11.6㎝, 너비 3.7㎝이고 반달돌칼3은 길이 15.5㎝, 너비 4.9㎝이다.

[특징]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중 홈자귀와 반달돌칼의 형태는 중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동일 유물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다. 특히 강원도 출토 유물들과 매우 높은 유사도를 보인다. 그러나 빗 모양, 물고기 모양, 삼각형, 사다리꼴의 반달돌칼과는 형태적 차이가 크다.

[의의와 평가]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중 홈자귀와 반달돌칼은 철원 지역에서 농경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는 적극적인 유물로 평가된다. 특히 반달돌칼은 수확도구로 곡식을 수확할 때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청동기 시대 철원군 지역에서 광범위한 농경이 이루어졌다는 직접적인 증거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