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564
한자 遼東伯金應河將軍廟碑
영어공식명칭 Yodongbaek Kimeungha General Tombstone
이칭/별칭 요동백김응하장군묘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산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원미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09월 13일연표보기 - 요동백김응하장군묘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요동백김응하장군묘비 강원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건립 시기/일시 1683년연표보기 - 요동백김응하장군묘비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74년 11월 - 요동백김응하장군묘비 용인 3군사령부 연병장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84년 4월 3일 - 요동백김응하장군묘비 포충사 내로 이전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80년 - 김응하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19년 - 김응하 사망
현 소재지 포충사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산1-1 지도보기
성격
양식 귀부개석(龜趺蓋石)형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너비, 두께) 397㎝[전체 높이]|215㎝[비석 높이]|97㎝[폭]|33㎝[두께]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정의]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포충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응하 장군의 무훈을 기리는 묘비.

[개설]

김응하(金應河)[1580~1619]는 강원도 철원 출신으로 조선 후기의 무신(武臣)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경의(景義), 시호(諡號)는 충무(忠武)이며 고려의 명장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이다. 1604년(선조 37) 무과에 합격하였고, 평소 김응하의 자질을 높이 산 박승종(朴承宗)이 병조판서(兵曹判書)가 되면서 선전관(宣傳官)에 제수되었으나 이듬해 파직되었다. 1618년(광해군 10) 명나라가 후금(後金)을 정벌할 때 조선에 원병을 청해 오자 부원수 김경서(金景瑞) 휘하의 좌영장(左營將)으로 있다가 1619년 2월 도원수(都元帥) 강홍립(姜弘立)을 따라 압록강을 건너 후금 정벌에 나섰다. 그러나 명나라가 대패하고 3,000명의 휘하 군사로 6만 명과 대적하여 고군분투하다가 중과부적으로 전사하였다. 명나라 신종(神宗)은 김응하의 용전부투한 장렬한 죽음에 대한 보답으로 조서(詔書)를 내려 요동백(遼東伯)에 봉(封)하였고 가족에게는 백금을 하사하였으며 조정에서도 영의정을 추증하였다.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遼東伯金應河將軍廟碑)는 1683년(숙종 9) 건립되었다.

[위치]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내에서 북쪽으로 금학로를 따라가면 화지리가 나온다.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포충사 안에 있다. 1974년 11월 이세호 3군 사령관이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를 용인 3군사령부 연병장으로 이전하였으나, 유생과 철원군수에 의하여 1984년 4월 3일 포충사 내로 이전되었다.

[형태]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는 개석에 사자머리를 새겼는데 귀부의 용머리는 앞을 보고 있으며 눈망울이 크다. 귀부에 귀갑문(龜甲紋)과 하엽문(荷葉紋)이 있고 장방형 대석 위에 있다.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비석의 전체 높이는 397㎝, 비석 높이 215㎝, 폭 97㎝, 두께 33㎝이다.

[금석문]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에는 ‘조증요동백금장군묘비 유명조선국 조증요동백금장군묘비(詔贈遼東伯金將軍廟碑 有明朝鮮國 詔贈遼東伯金將軍廟碑)’라고 새겨져 있다. 송시열(宋時烈)이 찬(撰)하고 박태유(朴泰維)가 쓰고, 김수항(金壽恒)이 새겼다.

[현황]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는 귀부와 개석의 상태는 양호하나 비신에는 4곳에 총탄 흔적이 남아 있다. 1985년 9월 13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충무공 김응하 장군은 철원 출신으로, 포충사에 위폐를 모시고 매년 봄 가을에 안동김씨 후손을 비롯해 철원군민들이 참여하여 제사를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