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문학
-
강원도 철원 지역을 소재로 한 고전 문학 작품. 강원도 철원 지역을 소재로 한 한문학 작품은 운문(韻文)인 한시(漢詩)와 산문(散文)인 기행문과 기(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철원은 김화군(金化郡)과 평강군(平康郡)에 속하였던 정연리(亭淵里)를 포함한다. 한시는 철원의 대표적인 강인 한탄강(漢灘江)에 있는 명승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 많다. 한탄강을...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고석정을 소재로 한 한시. 고석정(孤石亭)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철원도호부 누정조에 “고석정은 부의 동남쪽으로 30리에 있다. 바윗돌이 우뚝 서서 동쪽으로 못물을 굽어본다. 세상에서 전하기를, 신라 진평왕(眞平王)[?~632]과 고려 충숙왕(忠肅王)[1294~1339]이 일찍이 이 정자에서 노닐었다고 한다....
-
강원도 철원군의 한탄강을 노래한 한시. 한탄강(漢灘江)은 강원도 서북부 평강군(平康郡)의 추가령곡(楸哥嶺谷)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르면서 평강과 철원을 거쳐 경기도 연천군과 포천시의 경계를 따라 남서로 흐르다가 미산면과 전곡면의 경계에서 임진강(臨津江)으로 흘러든다. 평강과 철원에서 임진강과의 합류점까지 뻗어 있는 현무암으로 된 용암대지를 관류하...
-
고려 후기 승려인 무외국통 정오가 강원도 철원군의 고석정을 보고 지은 기문. 「고석정기(孤石亭記)」는 고려 후기 승려인 무외국통(無畏國統) 정오(丁午)[?~1318]가 1288년(충렬왕 14) 가을에 만행(萬行) 등과 함께 철원군 일대를 여행하다가 고석정을 보고 느낀 바를 정리하여 지은 기문(記文)이다. 정오는 고려 후기에 전라남도 강진의 백련사(白蓮社) 결사...
-
조선 후기의 문신 이수광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 일대에 있던 태봉국 철원성(泰封國鐵原城) 터를 지나며 지은 한시. 「과궁예고성」은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수광(李睟光)[1563~1628]이 1605년 함경도 안변부사(安邊府使)로 부임하러 가는 길에 강원도 철원 지역을 지나면서 지은 한시이다. '태봉국 철원성(泰封國鐵原城)'은 궁예(弓裔)[?~918]가 건국한 태봉의...
-
조선 전기의 문신 강회백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에 있던 궁예의 옛 도읍지를 보며 지은 한시. 「궁왕고도유감」은 조선 전기의 문신 강회백(姜淮伯)[1357~1402]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의 풍천원(楓川原) 일대에 있던 궁예(弓裔)[?~918]의 옛 도읍지를 보며 지은 한시이다. 강회백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백보(伯父), 호는 통정(通亭)이...
-
조선 전기의 문인 김시습이 1459년에 강원도 철원과 경기도 포천의 경계에 위치한 보개산을 배경으로 지은 한시. 「보개산(寶蓋山)」은 조선 전기 문인인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1435~1493]이 지은 한시이다. 김시습은 1455년 겨울을 철원에 있는 김화(金化) 초막동에서 지냈다. 이듬해 6월에 사육신(死六臣)이 처형당하였다는 소식을 듣자 바로 한양으로 올라가...
-
조선 후기 문신 신후재가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의 북관정에 대하여 지은 한시. 「북관정」은 철원읍 관전리의 북관정(北寬亭)을 배경으로 조선 후기의 문신 신후재(申厚載)[1636~1699]가 지은 한시이다. 신후재는 본관이 평산(平山),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이다. 1660년(현종 1) 사마시(司馬試) 를 거쳐 1660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
고려 후기의 문인 안축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마리의 용담역을 소재로 하여 지은 한시. 「숙용담역(宿龍潭驛)」은 철원군 철원읍 대마리에 있었던 용담역(龍潭驛)을 소재로 하여 고려 후기의 문인인 안축(安軸)[1282~1348]이 지은 한시이다. 안축의 자는 당지(當之)이고, 호는 근재(謹齋)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안축은 강원도존무사(江原道存撫使)로 있을 때에 나...
-
조선 후기 오재순이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정연리에 있는 정연(亭淵)을 소재로 하여 지은 기문. 「정연기(亭淵記)」는 조선 후기 문인인 오재순(吳載純)[1727~1792]이 강원도 철원 지역의 정연(亭淵)을 소재로 하여 지은 기문(記文)이다. 오재순은 본관이 해주(海州), 자는 문경(文卿), 호는 순암(醇庵) 또는 우불급재(愚不及齋)이다. 공조판서 오두인(吳斗寅)[1624...
-
조선 후기 박장원이 강원도 철원군의 대표적인 명소를 노래한 한시. 「증진도사상홍이십운(贈秦都事尙弘二十韻)」 의 제목을 풀이하면 ‘도사(都事) 진상홍(秦尙弘)에게 20운(韻)의 시를 주다’이다. 조선 후기 문인인 박장원(朴長遠)[1612~1671]이 철원부사인 외할아버지와 살던 열세 살 때 지은 것이다. 박장원은 1627년(인조 5) 생원이 되고, 1636년 별...
-
조선 전기 성현이 강원도 철원 지역을 지나면서 지은 한시. 「차철원동헌운(次鐵原東軒韻)」은 조선 전기의 학자인 성현(成俔)[1439~1504]이 강원도 철원 지역을 지나면서 지은 한시이다. 성현은 본관이 창녕(昌寧),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慵齋)·허백당(虛白堂), 시호는 문대(文戴)이다. 성현은 1462년(세조 8) 스물세 살에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성해응이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정연리의 창랑정을 소재로 하여 지은 한시. 「창랑정(滄浪亭)」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정연리의 창랑정(滄浪亭)을 소재로 하여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성해응(成海應)[1760~1839]이 지은 한시이다. 성해응은 폐쇄적인 성리학의 연구 방법을 비판하고 고증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한학(漢學)과 송학(宋學)의 결...
-
조선 후기 문인 조지겸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 풍천원 일대에 있던 궁예의 옛 도읍지를 떠올리며 지은 한시. 「철원궁씨구도(鐵原弓氏舊都)」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조지겸이 풍천원(楓川原) 일대에 있던 궁예(弓裔)[?~918]의 도읍지를 떠올리며 지은 한시이다. 풍천원은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에 있다. 조지겸(趙持謙)[1639~1685]은 본관은 풍양(...
-
조선 후기 학자 이종휘가 강원도 철원 지역의 역사를 소재로 지은 한시. 「철원회고(鐵原懷古)」[이종휘]는 조선 후기의 학자 이종휘(李種徽)[1731~1797]가 철원 지역의 역사를 소재로 하여 지은 한시이다. 이종휘는 본관이 전주(全州), 자는 덕숙(德叔), 호는 수산(修山)이다. 학문적으로는 주자학의 폐쇄적인 성격을 비판하면서, 주자학(朱子學)과 양명학(...
-
조선 후기 문인 성해응이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칠만암을 소재로 하여 지은 한시. 「칠만암」[성해응]은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 상류에 있는 바위군인 칠만암(七萬巖)을 소재로 하여 조선 후기 문인이자 학자인 성해응(成海應)[1760~1839]이 지은 한시이다. 성해응은 폐쇄적인 성리학 연구 방법을 비판하고 고증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한학(漢學)과 송학(宋學)의...
-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 상류에 있는 바위군인 칠만암에 대하여 근대의 문인 신면화가 지은 한시. 「칠만암」[신면화]은 1941년 강원도에서 발행한 『강원도지』에 수록된 한시이다. 조선 후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활동한 신면화(申冕璍)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있는 칠만암(七萬岩)에 대하여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으나, 전우...
-
조선 후기의 문인 이현석이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정연리의 협선정을 소재로 하여 쓴 기문. 「협선정기」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정연리의 협선정(挾仙亭)을 소재로 하여 조선 후기의 문인 이현석(李玄錫)[1647~1703]이 지은 기문(記文)이다. 이현석은 1667년(현종 8) 진사가 되고, 1675년(숙종 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며, 1676년 예문관검열...
현대 문학
-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까지 강원도 철원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문학 활동 혹은 철원 출신 작가들의 문학 활동. 현대문학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문학 활동을 일컫는다. 강원도 철원과 그 지역 일대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문학 활동 혹은 철원 출신 작가들의 문학 활동 중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하여 정리한다. 보통 한 지역의 현대문학을 살펴보기 위하여서는 일차적으...
-
강원도 철원 출신 작가 유용수가 2013년에 발간한 장편소설. 『고향 철원 실버드나무꽃 한 쌍』은 2013년 7월 도서출판 천산에서 발간된 장편소설이다. 작가인 유용수가 1933년 철원에서 태어나 파라과이로 이민을 가기 전까지의 생활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체험 전기소설이다. 『고향 철원 실버드나무꽃 한 쌍』은 체험 전기소설이라고 표방한 것처럼 전형적인...
-
강원도 철원 출신 소설가 이태준이 1933년 발표한 단편소설. 강원도 철원 출신의 작가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1904~?]의 단편소설 「꽃나무 심어 놓고」는 1933년 3월 『신동아』에 발표되었다. 「꽃나무 심어 놓고」는 일제 강점기 농토를 잃고 방황하는 한 가족의 비극적인 삶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도시와 농촌 어디에서도 희망을 찾을 수 없었...
-
강원도 철원 출신 소설가 유재용이 1978년 『문예중앙』 겨울호에 발표한 단편소설. 「누님의 초상」은 한국 현대 소설사에 족적을 남긴 철원 출신 작가 유재용의 대표작이다. 광복 후 이념과 이익에 따라 각 계층의 욕망이 충돌하던 혼란과 비극의 공간이었던 김화군 창도를 배경으로 한 가정의 역사적 비극과 질곡을 그려 낸 작품이다. 「누님의 초상」은 1인칭...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의 철원역을 소재로 하여 정호승이 지은 현대시. 「다시 철원역에서」는 1990년 10월 창비에서 발간된 정호승의 시집 『별들은 따뜻하다』의 제2부 19편의 시 중에서 일곱 번째로 실린 시이다. 여섯 번째로 실린 「철원역에서」와는 연작의 성격이 강하다. 남북 분단의 상징이 되어 버린 ‘철원역’의 이미지를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 내고 있다...
-
강원도 김화 출신의 소설가 유재용이 1987년에 발표한 중편소설. 「달빛과 폐허」는1987년 강원도 김화 출신의 소설가 유재용(柳在用)[1936~2009]이 발표한 중편소설이다. 『1988년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에 ‘기수상작가 우수작’으로 실리기도 하였다. 실향민 아닌 실향민이 되어 버린 옛 철원 지역[민통선 지역]에 살던 피난민 가족이 아픔을 극복하는 과정...
-
강원도 철원 출신 작가 이태준이 1943년 발표한 단편소설. 「돌다리」는 1943년 1월 『국민문학』에 발표한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1904~?]의 단편소설이다. 땅을 매도하는 문제를 둘러싼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갈등을 바탕으로 물질만 중시하는 근대적 사고방식에 대한 비판 의식이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작가 이태준은 현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
-
강원도 철원 출신의 소설가 이태준이 1942년에 발표한 단편소설. 「무연」은 1942년 6월에 『춘추』에 발표한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1904~?]의 단편소설이다. 일제 강점기 말 이태준의 고향인 용담[지금의 철원읍 율이리]의 풍경을 잘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작가 이태준은 현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강원도 철원군 묘장면 산명리에서 출생하였다....
-
강원도 철원 민통선 마을을 배경으로 하여 1989년에 발표한 임동헌의 중편소설. 「물소의 잠」은 1989년 『세계의 문학』 가을호에 발표한 임동헌(任東憲)[1958~2009]의 중편소설이며, 1995년 계몽사에서 발간한 『우리 시대의 한국문학』 제70권에 실리기도 하였다. 고향을 북에 두고 온 실향민과 그 2세들의 갈등과 화해는 물론, 민통선 마을이라는 특수...
-
강원도 철원의 민통선 마을을 배경으로 하여 1990년 출간된 임동헌의 장편소설. 『민통선 사람들』은 1990년 도서출판 전원문화사에서 발간되었다가, 1996년 도서출판 한뜻, 2000년 도서출판 늘푸른소나무에서 재출간되었다. 충청남도 서산 출신의 소설가 임동헌(任東憲)[1958~2009]의 장편소설이다. 임동헌은 학창 시절 철원으로 이사 와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
강원도 철원을 배경으로 하여 1925년 12월 소설가 나도향이 발표한 단편소설. 「뽕」은 나도향(羅稻香)[1902~1926]이 『개벽』 64호에 발표한 단편이다. 「여이발사」 이후 사실주의적 경향의 소설 쓰기로 전향한 나도향이 선보인 가장 완숙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나도향은 철원 출신이 아님에도 1926년 폐병으로 삶을 마감하기 직전에 철원을 배경으로 한...
-
강원도 철원 출신 소설가 이태준이 1942년에 발표한 단편소설. 「사냥」은 1942년 2월에 『춘추』 13권에 발표된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1904~?]의 단편소설이다. 사냥을 빌미로 산촌을 찾아 도시에서의 일상과 현실의 억압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나약한 지식인의 내면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작가 이태준은 현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강원도 철원...
-
강원도 철원 지역을 배경으로 하여 1987년에 발표된 소설가 김주영의 단편소설. 「쇠둘레를 찾아서」는 『1987 제11회 이상문학상 작품집』에 실린 후보 작품이기도 하다. 한때 원산과 금강산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철도역으로 번화하였지만, 해방 이후 삼팔선 이북으로 편입되고, 전쟁 후에는 다시 남한으로 편입되면서 겪은 강원도 철원 지역의 부침을 잘 보여 주는 작품...
-
강원도 철원 지역을 배경으로 하여 1932년 발표된 이태준의 단편소설. 「실낙원 이야기」는 1932년 7월 『동방평론』 3호에 발표된 소설이다.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1904~?]의 자전적인 경험이 담겨 있는 소설이다. 드높던 이상이 현실 속에서 좌절되는 식민지 지식인의 단면을 잘 담아내고 있다. 이태준은 현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
강원도 철원 출신의 소설가 이태준이 1932년 발표한 수필. 「용담 이야기」는 1932년 『신동아』 9월호에 발표된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1904~?]의 수필이다. 이태준이 쓴 소설의 무대가 되기도 하였던 고향 마을 ‘용담’을 묘사하고 그리워하는 내용이다. 1941년 박문서관에서 발간된 이태준의 수필집 『무서록』에 실린 작품이기도 하다. 작가 이태준은...
-
강원도 철원 출신의 작가 이태준이 1933년 8월 25일부터 1934년 3월 23일까지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한 장편소설. 「제2의 운명」은 『조선중앙일보』에서 1933년 8월 25일부터 1934년 3월 23일까지 약 7개월간 201회에 걸쳐 발표한 연재소설이다. 이후 1937년 6월에 『박문서관 장편전집』 1차 4권으로 간행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194...
-
강원도 철원 지역을 배경으로 하여 1926년 나도향이 발표한 단편소설. 강원도 철원 지역을 배경으로 한 「지형근」은 『조선문단』 14호, 15호, 16호에 실렸던 작품이다. 나도향(羅稻香)[1902~1926]이 죽기 두 달 전에 쓴 작품이며, 나도향의 마지막 단편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일제 강점기 아래 사회 문제를 정교하고 치밀하게 비판하고 묘사한 작품으로...
-
강원도 철원 출신 소설가 유재용이 1979년에 발표한 단편소설. 「짐꾼 이야기」는 1979년 『뿌리 깊은 나무』 1월호에 발표된 유재용(柳在用)[1936~2009]의 단편소설이다. 광복 이후 삼팔선을 넘나들던 사람들과 짐꾼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욕망이 발현되던 혼돈의 공간인 철원을 그려내고 있다. 「짐꾼 이야기」의 발단에서 ‘나’는 북...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의 철원역을 소재로 하여 작가 정호승이 지은 현대시. 「철원역에서」는 1990년 10월 창비에서 발간된 정호승의 시집 『별들은 따뜻하다』의 제2부 19편의 시 중에서 여섯 번째로 실린 시이다. 일곱 번째로 실린 「다시 철원역에서」와는 연작의 성격이 강하다. 남북 분단의 상징이 되어 버린 ‘철원역’의 이미지를 따뜻한 시선으로 그리고 있...
-
강원도 철원 출신의 이태준이 1934년 발표한 단편소설. 「촌띄기」는 1934년 3월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1904~?]이 『농민순보』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제목 그대로 시골 산마을에 사는 촌뜨기 ‘장군이’가 일제의 수탈과 문명의 발전에 쫓겨 삶의 터전을 잃고 고향을 떠나는 과정을 잘 담아낸 소설이다. ‘촌띄기’라는 제목은 소설 끝부분에서 아내와 헤어...
-
강원도 철원 출신의 작가 유재용이 1980년에 발표한 단편소설. 「한 세대는 가고」는 1980년 『세계의 문학』 여름호에 발표한 유재용(柳在用)[1936~2009]의 단편 소설이다. 같은 소재로 1979년에 발표한 「짐꾼 이야기」와 하나의 축으로 읽히는 작품이다. 「한 세대는 가고」는 발단에서 소설가인 ‘나’는 ‘삼팔선 짐꾼’에 대한 소설을 쓰기로...
-
강원도 철원을 배경으로 하여 2012년 창비에서 발간한 소설가 이현의 장편소설. 『1945, 철원』은 2012년 창비에서 발간하였다. 1970년 10월 8일 부산 출신의 동화 작가이자 소설가인 이현의 세 번째 장편소설이다. 일제가 패망한 1945년 8월부터 6·25전쟁 직전 분단이 고착화될 때까지 강원도 철원에서 일어난 이야기를 ‘경애’라는 열다섯 살 소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