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121
한자 南區
영어공식명칭 Nam-gu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현기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95년연표보기 - 광주광역시 남구 개설
성격 행정구역
면적 60.9㎢
가구수 92,233가구
인구[남/여] 218,060명[남 105,027명|여 113,033명]

[정의]

광주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개설]

광주광역시의 남부에 자리한 자치구이다. 남구의 동쪽은 분적산[415m]으로 동구와 경계를 이루고, 서쪽은 영산강을 경계로 광산구와 인접하고 있다. 남구의 남쪽은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및 화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고, 북쪽은 서구, 동구, 북구와 접한다. 2020년 12월 기준 16개 행정동과 30개의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광주광역시 남구가 역사상에 존재를 드러낸 것은 1995년 3월 1일 법률 제4802호[1994년 12월 22일 공포]에 의해 서구에서 분구(分區)되면서부터이다. 고려 말 지금의 남구 자리에는 양과부곡(良苽部曲)이 있었고, 조선시대 때는 광주목 공수방(公須坊), 부동방(不動坊), 옹정(瓮井), 효우동(孝友洞), 유등곡(柳等谷), 칠석(漆石), 대지(大枝), 계촌면(界村面)과 남평현 두산면(頭山面) 등이 있었다. 남구대촌동은 대지와 계촌의 이름을 따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광주군 대촌면(大村面)이 되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광주광역시 남구 대촌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남구의 북부에 자리한 방림1, 2동은 조선시대 때 부동방면(不動坊面) 지역이었다가 1914년에 광주군 효천면(孝泉面) 양림리가 되었고, 1935년 광주부에 편입되면서 양림정(楊林町)과 방림정(芳林町)으로 분리되었다. 1946년에 들어서 방림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70년 방림1, 2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른다. 한편 조선시대 때 광주목 부동방(不動坊)·도천면(陶泉) 지역이었던 남구 북부 중앙의 백운1, 2동은 1914년에 광주군 효천면 벽도리가 되었다가 1935년 광주부 백운정에 편입되었고, 1985년에 백운1, 2동으로 분동되었다. 봉선1, 2동은 조선시대 때 광주목 부동방(不動坊)·옹정면(瓮井面)에 속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광주군 효천면 봉선리(鳳仙里)가 되었다.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되었다가 1957년 봉선동주월동이 통합될 때 봉주동(鳳珠洞)으로 명칭 변경되었고, 1980년에 봉선1, 2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남구의 북부에 자리한 사직동은 1935년 광주부로 승격될 때 향사정(鄕社町), 구강정(龜崗町), 서정(西町)이 된 이후, 1947년까지 향사정은 학동, 사동으로, 구강정은 구동(龜洞)으로, 서정은 대성동(大成洞)과 의동(義洞), 서동(西洞)으로 개칭되는 행정 변화를 겪었다. 이후 1952년 사동구동을 통합하여 사구동이 되었으나 1970년 서1,2 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8년에 사구동, 서1동, 서2동을 통합하여 사직동으로 개칭하였다. 송암동은 1914년 조선시대 때 송산(松山)[솔메], 일성(日成), 입하(立荷), 호암(虎巖)이었던 지역을 통합하여 송하리(松荷里)라 하고, 도동(都洞)[독골], 입암(笠巖), 갓바우, 가산(佳山), 임정(林亭)[들머리]을 합하여 암암리라 하여 광주군 효천면에 편입하였다가 1957년 송암동으로 명칭 변경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 양림리였던 양림동은 효천면에 편입되었다가 1935년 양림정과 방림정으로 분리되었고, 이후 지석동(支石洞), 양학동(楊鶴洞) 등으로 명칭 변화를 겪다가 1947년에 들어 양림동으로 부르게 되었다.

월산동, 월산4, 5동은 1914년에 광주군 효천면 주월리(珠月里)였다가 월산정(月山町)[1935년], 월은동(月隱洞)[1946년], 월산동[1947년]으로 명칭이 변경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후 여러 번의 통합과 분리 과정을 거치면서 1985년 월산4동을 분리하여 월산5동을 개설하였고, 2000년에 월산1~3동월산동으로 통합하였다. 주월1, 2동은 1914년 주월리에서 1935년에 광산군 효지면(孝池面)에 속하였다가 1955년 주월동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주월동은 1957년 봉선동과 통합되어 봉주동 관할이 되었으나, 1985년에 주월1, 2동으로 분동되었다. 한편 효덕동은 조선시대 때 광주목 효우동면(孝友洞面)과 도천면(陶泉面) 일대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1935년 광주부 승격 때 광산군에 포함되었다가 1955년에 광주시에 편입되어 진월출장소 관할이 되었고, 1957년 효덕동으로 변경되었다.

[자연환경]

남구에는 제석산[205m]과 금당산[304m]을 연결하는 저산지대가 대상(帶狀)을 이루면서 도심 중간을 가로지르고 있는 지형이 나타난다. 영산강의 상류인 남구의 남서부 지역에는 구릉성 저지대와 평야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남구의 군소 평야들은 영산강 본류를 따라 전라남도 나주시 등지로 이어져 나주평야의 일부를 형성한다. 대촌동을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대촌천남구의 대표적인 하천이며, 대촌천을 제외하고는 하천의 발달은 미약한 편이다.

[현황]

2019년 기준 남구의 도시지역 면적은 광주광역시 도시지역 면적의 12.7%에 해당하는 60.9㎢로 녹지지역의 면적이 44.5㎢로 가장 넓고, 다음으로는 주거지역[14.0㎢], 공업지역[1.9㎢], 상업지역[0.4㎢] 순으로 면적이 넓게 나타난다. 2019년 12월 기준 남구의 인구는 2010년에 비해 10,135세대가 증가하고 216명이 증가하여, 92,233가구에, 총 218,060명으로 남자가 105,027명, 여자가 113,033명이다. 남구의 동별 인구를 살펴보면 남구의 16개 행정동 가운데 가장 많은 인구가 분포하는 동은 효덕동이다. 효덕동은 신시가지 개발이 가속화되어 2020년 현재 남구 인구의 21.5%에 해당하는 46,125명을 기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29,218명이 거주하는 봉선2동의 인구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장 적은 수의 인구를 기록하고 있는 대촌동남구 인구의 2.9%에 불과한 6,216명이 거주하고 있다. 다음으로 남구의 인구 이동을 살펴보면 2020년 30,491명이 전입하고 33,589명이 전출하여 -3,098명의 순이동이 나타났다.

2019년 12월 기준 남구에는 광주광역시 사업체의 11.9%에 해당하는 14,723개의 사업체가 있고, 광주광역시 종사자의 10.4%에 해당하는 66,003명이 종사하고 있다. 남구의 제조업체 수는 남구 사업체의 3.5%인 509개이며, 제조업 종사자는 남구 종사자의 2.7%에 해당하는 1,779명이다. 남구에는 남구 사업체 수의 23.2%에 해당하는 3,409개의 도소매업체가 있으며, 여기에 8,808명이 종사하고 있다. 산업단지는 지방산업단지 2개[송암일반산업단지, 광주에너지밸리일반산업단지]와 남구도시첨단산업단지가 지정되어 있다. 2014년 3월 ‘제5차 투자활성화대책’을 통해 국가지정 도시첨단산업단지 1차 지구로 선정된 남구도시첨단산업단지대촌동 일원에 총 면적 480㎡로 조성되었으며, 2021년 1월 현재 1,434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 남구에는 전문대 1개 학교[기독간호대학교]와 광주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송원대학교 등의 3개 대학교가 있으며, 광주공원 안에 있는 보물 광주 서오층석탑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광주향교를 포함한 37개의 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 『2019 구정백서』(광주광역시 남구, 2020)
  • 『2020 광주통계연보』(광주광역시, 2020)
  •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
  • 광주광역시 남구청(https://www.namgu.gwangju.kr)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heritage.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한국산업단지공단(https://www.kicox.or.kr/index.do)
  • KOSIS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