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헌실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665
한자 晦軒實紀
영어공식명칭 Hoeheonsilgi
이칭/별칭 『회헌선생실기』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공광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905년연표보기 - 『회헌실기』 편찬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문집
저자 임대동
편자 임민규
간행자 임민규
권책 1책
행자 9행 16자
규격 29.9×19.5㎝
어미 내향이엽화문어미
권수제 회헌선생실기
판심제 회헌선생실기

[정의]

조선시대 경상남도 함양군 출신의 임대동이 쓴 실기.

[저자]

임대동(林大仝)[1432~1503]의 자는 정숙(貞叔), 호는 회헌(晦軒),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조부 임상재(林尙宰) 때부터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서주리에 거주하였다. 1474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임실 현감을 지냈다. 일찍이 김종직(金宗直)[1431~1492] 문하에서 유학하였다. 정여창(鄭汝昌)[1450~1504], 김일손(金馹孫)[1464~1598], 조위(曺偉)[1454~1503], 유호인(兪好仁)[1445~1494], 표연말(表沿沫)[1449~1498] 등과 사귀었다. 고을의 인재를 모아 학문을 연구하였으며, 회곡정사(晦谷精舍)[함양군 유림면 유평리에 위치]를 세워 후학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무오사화김일손·정여창 등 사우(師友)들이 죽임을 당하자 살아남은 것을 부끄럽게 여기고 세상과 인연을 끊었다. 1966년 지방 유림의 공의로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화산사(華山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화산사는 1988년 화산서원(華山書院)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후손 임민규(林玟圭)가 집안에 소장하고 있던 몇 편의 시문을 모으고 다른 인물들의 문집에서 임대동과 관련한 글을 추려 편찬하였다.

[형태/서지]

『회헌실기(晦軒實紀)』는 1책의 목활자본이며, 전체 크기는 29.9×19.5㎝이다. 사주단변(四周單邊)으로 반곽(半郭)은 20.5×14.9㎝이며, 행마다 경계가 있다. 9행 16자이고, 주(註)는 쌍행(雙行)이며,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회헌실기』의 서문은 곽종석(郭鍾錫)[1846~1919]이 지었으며, 발문은 정태현(鄭泰鉉)[1858~1919]과 후손 임민규가 지었다. 임대동의 작품은 시 7편이 전부이다. 나머지는 모두 부록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전기 함양 지역에서 활동한 임대동의 행적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비록 간략하지만 몇 편의 시 및 제현들과 주고받은 글을 통하여 당시 임대동의 학문과 교유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