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접사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511
이칭/별칭 도롱이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의복/의복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집필자 유병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우장
재질 볏짚|띠
입는 시기 사계절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어깨 위에 걸쳐 입던 우장(雨裝).

[연원]

접사리는 오래전부터 널리 이용된 우장의 일종이다. 서산 지역에서는 접사리와 비슷한 것으로 ‘께적’이 함께 사용되었다. 께적이 비옷, 방풍, 방한 등 다용도로 사용되었다면 접사리는 주로 비옷으로 이용되었다. 근래까지도 농촌이나 어촌에서 사용되었으나 현대적 비옷이나 비닐 등으로 대체되었다.

[형태]

접사리는 볏짚이나 띠 같은 풀을 용마름 모양[人자형]으로 촘촘하게 잇달아 엮어 빗물이 안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만들었다. 접사리의 안쪽은 매끈하게 다듬고, 겉은 거칠게 두어 빗물이 속으로 스미지 않고 잘 흘러내리게 하였다. 접사리라는 말은 반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형태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평상시에는 접어서 휴대하고 다니다가 비가 오면 펼쳐서 입는다. 머리부터 엉덩이 부위까지 가리며, 전체적으로 펼친 형태는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머리 쪽은 고깔 모양으로 만든다. 어깨 위에 걸쳐 두르듯이 입는데, 가슴께에 양 옆으로 끈이 달려 있어 묶을 수 있도록 하였다.

[용도]

도롱이의 일종인 접사리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어 휴대하기가 쉽고, 짚이나 띠 등의 풀로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전통 시대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우장의 하나이다. 비와 눈, 바람, 추위를 막아 주는 다용도로 쓰였으며, 비 오는 날 모내기 등의 농사일을 할 때나 갯벌에서 작업할 때도 입었다. 특히 서산의 해안가 지역에서는 갯벌 작업을 할 때 우비와 방한복의 용도로 입었던 께적의 대용품으로도 널리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