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생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329
한자 住生活
영어공식명칭 Housing life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형동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서 주민들이 주거한 주택의 양식과 주거 생활.

[개설]

철원 지역의 주택은 생활의 근거로 풍토적 조건과 생활양식에 따라서 그 모양과 구조를 달리한다.

강우량이 많은 철원 지방은 비와 추위를 막기 위하여 지붕의 경사를 급하게 만든 반지하식 가옥에서 출발하여 지상에 돌과 흙으로 담을 쌓아 지은 토담집으로 변모하였다. 그 후에는 나무와 볏짚을 사용하여 초가집을 짓고 살았다. 이곳 사람들은 집을 지을 때 집의 정면이 남쪽을 향하도록 하고, 집의 형태는‘ㄱ’자 형으로 지었다. 그러다가 ‘ㄷ’자 형태로 다시 변화하였다. 초가집에서 기와집으로, 다시 양옥으로 변모하였다.

[전통가옥의 구조]

철원군의 일반 주택에는 안방, 건넌방, 윗방, 마루방, 부엌, 사랑방 등이 있다. 중류 이상의 규모가 큰 주택에는 일반 주택에 있는 공간 외에 행랑방, 청지기방, 창방과 각종 광이 있다. 또 독립된 건물인 별당과 사당이 있는 경우도 있다.

조선 시대에는 남녀 간에 내외를 하였는데, 주택 공간을 안채와 사랑채로 이분하여 안채는 부녀자의 거처로, 사랑채는 남자의 거처로 이용하였다. 각 방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안방은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공간으로 주부[안주인]의 공간이다. 외간 남자의 출입은 금지하였고, 남자는 가까운 친척과 집안 식구들만 출입할 수 있었다. 윗방은 보통 규모의 집에는 없고, 규모가 큰 집에서 볼 수 있다. 안방에 이어 위쪽에 있는 방으로 안방에 준하는 공간이다. 건넌방은 마루방이 있는 형식의 주택에서 볼 수 있는데, 마루를 중심으로 안방과 마주 보는 공간이다. 마루방은 바닥이 널마루로 되어 있는 공간으로 온돌방이 아니다. 성주신을 이곳에 모신다. 부엌은 요즘 주방이나 보일러실에 해당한다. 온돌 아궁이가 있어 난방을 하며 이 아궁이에 솥을 걸어 음식을 조리한다. 사랑방은 바깥주인[남성]의 공간으로 외부와 가까운 주택 공간이다. 규모가 큰 주택에서는 안채와는 별도의 건물로 존재한다. 행랑방은 주택에서 가장 외부에 속하는 방이다. 집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기거한다.

주택은 북부형 주택, 남부형 주택으로 구분된다. 북부형은 내분형으로 한 지붕 안에 부엌, 안방, 윗방, 아랫방 등을 포함한 양통형 또는 전자형(田字型)이라고 부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남부형은 겹집이 아닌 외줄 집으로 겉으로 뻗어가는 외연형이다. 그리고 말집이라고 하여 부엌이 붙은 안방 하나만의 빈약한 주택도 있다.

전통가옥의 재료는 나무와 흙·돌·회·기와·짚 등이 있다. 가장 중요한 재료는 나무이고, 그 가운데서도 적송이 매우 중요하다. 기와와 짚으로 만든 지붕 외에 너와집과 굴피집도 있다. 1960년대 지붕 개량 등을 하면서 슬레이트 지붕이 보급되기도 하였다.

근래에는 서양식 주택이 들어왔고, 아파트 등이 늘었다.

[그외 중요 건물]

철원 노동당사는 광복 이후 북한 정권이 세운 건물이다. 1946년 초에 북한 정권 하에서 착공하여 지상 3층에 대지면적 3,115㎡[942.29평], 건축면적 386㎡[117평], 연면적 1,118㎡[338.4평], 연건평 1,917㎡[580평] 규모의 건축물로 신축하였다. 조적식 기둥 및 벽체로 수직재를 이루고 있으며, 보 및 글라브는 철근 콘크리트 수평재로 수직재와 결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천장은 목조 삼각형 지붕 틀을 사용한 흔적이 있다. 입구의 1층에 원기둥 두 개를 세워 현관을 두었으며, 그 위에는 아치로 장식하여 정면성을 부각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