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하공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661
한자 河拱辰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김우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994년 - 하공진 압강도 구당사 제수
몰년 시기/일시 1011년 12월연표보기 - 하공진 졸
추모 시기/일시 1052년 5월 - 하공진 상서공부 시랑에 추증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진주(晋州)
대표 관직 상서좌사 낭중(尙書左司郞中)

[정의]

도봉 지역에서 피난길에 오른 국왕을 알현한 고려 전기의 문신.

[개설]

하공진(河拱辰)[?~1011]은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성종(成宗) 대부터 현종(顯宗) 대까지의 활동상이 전해지는 인물이다. 주로 여진족(女眞族)과의 관계 및 거란과의 전쟁과 관련한 활동 모습이 남아 있다. 도봉구와의 인연으로는 거란의 2차 침입도봉사(道峯寺)로 피신한 현종을 알현한 기록이 있다.

[가계]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진주 하씨의 시조이다. 아들은 하칙충(河則忠)이다.

[활동 사항]

하공진은 994년 압록강(鴨綠江) 일대를 관할하기 위한 관직으로 보이는 압강도 구당사(鴨江渡勾當使)에 임명되었다. 이후 1009년 1월 중랑장(中郞將)으로서 목종(穆宗)의 병환이 위중해졌을 당시 궁궐을 경호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강조(康兆)가 난을 일으키자 그에 가담하였다.

1010년(현종 원년) 5월 하공진유종(柳宗)과 함께 섬으로 유배되었다. 하공진이 과거에 무단으로 동여진(東女眞)을 공격했다가 실패했던 적이 있었는데, 유종이 그 복수를 위하여 화주관(和州館)에서 여진인(女眞人)들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여진인들이 거란에 호소하고, 그것이 거란의 2차 침략의 한 원인이 되었으므로, 하공진의 유배는 이에 대한 처벌로 보인다. 그러나 1010년 12월 거란의 공격이 시작되자 현종하공진을 소환하여 관직을 회복시켜 주었다.

복직된 하공진은 거란군을 피해 남하하던 현종도봉사(道峯寺)에서 알현하였다. 하공진은 “거란이 본시 역적을 정벌한다는 구실로 출병하였는데 이제 이미 강조를 잡았으니 이때에 사신을 보내 강화를 제의하면 그들은 틀림없이 철퇴할 것이라”고 하고는 거란과의 화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사절로 자신을 파견할 것을 자청하였다. 1011년 1월 왕의 허락을 받고 거란의 황제 성종(聖宗)을 만난 하공진은 협상 끝에 철군을 이끌어내는 데에 성공하였으나, 자신은 고영기(高英起)와 함께 거란군에게 억류되었다.

하공진은 거란군의 철수 시에 함께 끌려가 연경(燕京)에 거주하게 되었다. 이후 탈출하여 고려로 돌아갈 계획을 세웠으나 사전에 발각되었다. 거란 왕에게 문초를 받을 때 하공진은 “나는 우리 본국에 대하여 딴마음을 품을 수 없으니 만 번 죽더라도 살아서 귀국의 신하가 되기를 원하지 않노라”라 하였다. 거란 왕이 그 용맹을 사랑하여 여러 번 달래었으나 뜻을 꺾을 수 없음을 알고 결국 1011년 12월 사형에 처하였다. 하공진이 죽자 거란 군사들이 앞을 다투어 그의 염통과 간을 내어 먹었다.

[상훈과 추모]

하공진은 이후 고려에서 대대로 충신으로 표창되었다. 1025년(현종 16) 왕이 교지를 내려 하공진의 공을 기록하게 하고 아들 하칙충에게 봉급과 관등을 올려주었다. 1052년(문종 6) 5월 에는 공신각(功臣閣)에 영정을 모시고, 다시 아들에게 5품직을 제수하였으며, 하공진을 상서공부 시랑(尙書工部侍郞)으로 추증하였다. 1095년(헌종 원년)에도 후손 중의 한 사람에게 입사(入仕)가 허락되었고, 1110년(예종 5)에는 하공진의 현손 하준(河濬)을 합문지후(閤門祗侯)로 삼고 왕이 시를 내려 주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