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건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483
한자 住居建築
영어공식명칭 House constructi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집필자 김난아

[정의]

전통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에 전승되어 온 주거 건축 문화.

[개설]

주거 건축은 지역의 풍토·생업·계층·경제 여건 등에 따라 그 지역의 주거 문화로 정착해 특징적인 형태와 기능을 갖고 진화해 왔다. 청송군은 경상북도 남동 내륙부에 위치하여, 태백산맥과 그 지맥인 삼도산맥(三都山脈) 등으로 둘러쌓여 있어 한서(寒暑)의 차이가 심한 대륙성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지형적으로는 중생대 경상계 퇴적암층이며, 높은 산이 중첩되어 있어 기복이 심한 산악 지형이다.

[청송 지역 전통 주거 건축]

현재 청송 지역에서 파악되는 전통 주거 건축의 대부분은 조선시대 상류 가옥들이다. 당시 청송의 재지양반(在地兩班)들은 유교적 예제에 근본을 둔 삼강오륜을 비롯한 봉제사(奉祭祀)와 접빈객(接賓客)을 위해 주택 내 가묘나 사당을 두고 부부유별(夫婦有別)에 따라 안채와 사랑채를 구별해 거처하였다. 또 사랑채 내에서도 장유유서(長幼有序)에 따라 실(室)을 달리하고 규모와 형태, 구조에 차별을 두는 등 유교적 질서에 따라 주생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청송 지역 상류 가옥의 구성은 안채, 사랑채, 아래채, 도장채, 대문간채 등으로 이루어지며, 배치 구성은 각 채가 온전히 결합해 안마당을 에워싸는 ‘ㅁ’ 자형과 각 채 세 동 내지 네 동이 별동으로 안마당을 에워싸는 ‘튼ㅁ’ 자형 등의 배치가 있다.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는 청송 지역의 전통 주거 건축은 청송 성천댁[국가민속문화재 제172호], 청송 후송당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173호], 청송 송소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250호],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82-1호], 서벽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282-2호], 사남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282-3호], 도리 추원당[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금대정사[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기곡재사[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55호], 청송 화지재[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7호], 청송 초전댁[문화재자료 제421호], 청송 덕양재[문화재자료 제429호], 청송 병보재사[문화재자료 제488호], 청송 송정 고택[문화재자료 제631호]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조경 문화는 거주자들의 소통의 장소이자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공간으로, 전통시대 주거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전통 시대 조경 건축은 누정(樓亭)이 대표적이다. 누정은 성리학의 영향으로 조선시대 크게 성행하였는데, 남성의 공간으로 휴식 및 창작과 풍류를 즐기는 곳이자 강학과 각종 향촌회의 장소로도 활용되었다.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는 청송의 전통 조경 건물은 찬경루[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3호], 청송 만세루[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09호], 방호정[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51호], 월정리 침류정[문화재자료 제266호], 풍호정 주사[문화재자료 제292호], 청송오체정[문화재자료 제428호], 청송 송만정[문화재자료 제577호 ], 청송 소류정[등록문화재 제497호] 등이 대표적이다.

[청송 지역 현대 주거 건축]

산업 경제의 현대화에 따른 현대적인 주생활의 선호, 생업의 변화 등으로 상당수가 철거된 뒤 양옥으로 건축되었거나, 빈집 내지는 개조·개량·증축 등을 통해 거주하는 집이 많다. 변화의 주된 공간 모습은 부엌 개조와 방 확장, 화장실 및 욕실의 증축 등이다. 이 중 부엌은 당초 재래식 취사와 난방 기능의 정지를 현대식 설비를 갖추어 개조하고, 방은 전·후면으로 처마 끝까지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2015년 말 청송군의 주택 현황은 단독주택 1만 887가구, 다가구주택 165가구, 아파트 724가구, 연립주택 166가구, 다세대주택 559가구로 총 1만 2336가구이며, 주택 보급률은 109.1%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