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군읍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12086
한자 楊州郡邑誌
영어공식명칭 Yangjugun Eupj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진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양주군읍지 서울 대학교 규장각 자료 총서 지리지 편 『경기도 읍지로 영인
소장처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읍지류
편자 양주군 편
표제 양주군읍지

[정의]

개항기 때 간행된 현재 경기도 구리 지역이 속했던 양주 지역에 대한 읍지.

[개설]

읍지도를 포함하여 『여지도서(輿地圖書)』 유형의 항목이 나열되어 있으나, 편차는 같지 않다. 전체 항목 중에서 능묘와 인물 항목이 가장 상세하다. 민호, 군 등의 항목에 간지(干支)가 들어 있지 않아 이 읍지가 어느 시기의 사정을 반영하고 있는지 분명치 않다.

[편찬/간행 경위]

『양주군읍지』는 필사본이며, 간행 연도는 미상이다.

[서지적 상황]

『양주군읍지』는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청구 기호 ‘규 10733’으로 분류, 소장되어 있으며, 1998년 규장각 자료 총서 지리지 편 『경기도 읍지』 2권에 영인본으로 간행되었다.

[형태]

『양주군읍지』는 채색 지도를 포함한 필사본으로 1책 3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21.5㎝, 세로32.5㎝이다. 광곽(匡郭)[책장의 네 둘레, 즉 인쇄면의 가장자리에 그어진 검은 선]은 사주단변(四周單邊)[지면의 네 둘레를 하나의 선으로 돌림]이며 반엽광곽(半葉匡郭)의 크기는 가로 27.5㎝, 세로 18.5㎝, 반엽[책장을 접었을 때의 한 면]의 행자수는 10행 19자이다. 계선(界線)[본문의 각 행 사이에 그어진 선]이 있고, 주문(註文)은 쌍행(雙行)이다.

[구성/내용]

『양주군읍지』는 총 3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채색 지도와 건치 연혁(建置沿革), 군명(郡名), 성씨, 산천, 제언(堤堰)[방죽], 토산(土産), 봉수(烽燧), 궁전, 학교, 서원, 역원, 발참(撥站), 목장(牧場), 면리, 불우(佛宇), 사우, 능묘(陵墓), 명환(名宦), 인물, 제영(題詠), 진공(進貢), 장시, 교량, 민호, 군액(軍額), 조적(糶糴), 공해(公廨), 관방, 형승(形勝) 등의 순으로 편찬되어 있다. 양주군 일대에 조선 왕릉을 비롯한 왕가의 무덤이 널리 분포되어있는 만큼, 능묘에 대한 설명이 소상한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양주군읍지』는 현재의 양주시 지역 대부분을 비롯, 구리시와 남양주시, 의정부시, 동두천시를 모두 관할하는 양주군의 읍지로, 현재의 구리시의 옛 지명인 구지면(龜旨面)망우리면(忘憂里面)을 찾아볼 수 있다. 채색 지도에 구릉(九陵)[현 동구릉]이 표시되어 있으며, 구리시를 흐르는 왕숙천이 보인다. 능묘 조에 건원릉[태조], 현릉[문종], 목릉[선조], 휘릉[인조 비 장렬 왕후], 숭릉[현종], 혜릉[경종 비 단의 왕후], 원릉[영조], 경릉[명종]의 명칭과 위치가 나와 있고, 건원릉 앞에 신도비가 세워져 있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원릉구지면(九旨面)에 있다는 서술이 있다. 교량 조에는 망우리면에 있다는 송계교(松溪橋)가 등장한다. 옛 지명을 통해 구리시의 역사를 파악할 수 있으며, 봉수·역원·발참·교량 등 당시의 교통 상황과 더불어 토산·제영·진공 등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1차 사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