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
경기도 구리 지역에 분포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에 주로 제작·사용되어 초기 철기 시대까지 이어진 무덤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과 껴묻거리[부장품(副葬品)]를 두는 매장 시설을 조성하고 그 위에 대형 자연석을 얹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고인돌은 제작 방식과 형태에 따라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지...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사노동 고인돌 떼는 사노동의 자연 마을인 언재말에서 북동쪽으로 약 250m 떨어진 언덕[해발 30m]에 분포한다. 북쪽으로 약 80m 떨어진 곳에 46번 국도가 지나가며, 동쪽으로 약 250m 떨어진 곳에 왕숙천이 흐르고 있다. 사노동 고인돌 떼는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아천동 아치울 고인돌은 아치울 마을의 남양 홍씨(南陽洪氏) 묘역에서 남쪽으로 직선거리로 약 50m 떨어진 지점에 있다. 고인돌의 오른쪽에는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373-11에 해당하는 주택이 있다. 아천동 아치울 고인돌은 2007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제작을 위해 이 지...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었던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양지말 고인돌 떼는 인창 공원이 조성되기 전 동구릉에서 남쪽으로 약 1㎞ 떨어진 곳에 있는 낮은 언덕의 정상부 일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은 현재의 인창 공원 내부에 해당한다. 양지말 고인돌 떼는 1994년 한신 대학교 박물관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했으며, 2000년 서...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었던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인창동 고인돌은 동구릉 남쪽 언덕의 묘목장[해발 30m]에 있었다. 인창동 고인돌은 1994년 한신 대학교 박물관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했으며,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도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실시했다. 인창동 고인...
유물 산포지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교문동 유물산포지는 구리 시립 체육공원 안에 있는 구리시 멀티 스포츠 센터와 그 주변 지역이다. 교문동 유물산포지는 1932년과 1934년 두 차례에 걸쳐 경성 제국 대학의 학자 요코야마 쇼자부로[橫山將三郞]에 의해 조사되었다. 당시 수집된 유물들을 1976년 이백규[현 경북 대학교 고고 인류학...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구릉산 유물산포지는 구릉산 정상[해발 177.8m] 일대이다. 구릉산 유물산포지는 일제 강점기 경성 제국 대학의 요코야마 쇼자부로[橫山將三郞]에 의해 조사되었다. 당시 채집된 유물을 1974년 이백규[현 경북 대학교 고고 인류학과 명예 교수]가 소개했고,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철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망우리 유물산포지 1은 망우산 정상[해발 281.7m] 일대이다. 망우리 유물산포지 1은 1965년 고 임병태 숭실 대학교 사학과 교수가 발견·보고했고,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실시했다. 발견 당시에는 망우리 유물산포지...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망우리 유물산포지 2는 망우산 정상[해발 281.7m] 일대에 있으며, 망우리 유물산포지 1에서 북동쪽으로 160m 떨어진 지점이다. 망우리 유물산포지 2는 1965년 고 임병태 숭실 대학교 사학과 교수가 발견·보고했고,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철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망우리 유물산포지 3은 망우산 정상[해발 281.7m]에서 북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봉우리[해발 258.8m] 일대이다. 망우리 유물산포지 3은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망우산 및 아차산 등을 조사하던 중에 발견되었다. 망우리 유물산포...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사노동 유물산포지 1은 북쪽의 왕숙천 지류인 용암천과 남쪽의 사노 인터체인지 사이 해발 30m의 낮은 평지에 있다. 사노동 유물산포지 1은 1999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을 조사하던 중 발견되었다. 사노동 유물산포지 1에서는 삼국 시대에...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에 있는 철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사노동 유물산포지 2는 동쪽의 왕숙천 제방과 서쪽의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구리 휴게소 사이의 평지에 있다. 사노동 유물산포지 2는 2005년 육군 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에서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사노동 유물산포지 2에서는 철기 시대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되는...
-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유물산포지. 수택동 유물산포지 1은 수택 고등학교에서 북서쪽으로 약 300m 떨어져 있는 왕숙천 서쪽 유역 일대에 있으며, 인접한 남쪽 지역에 구리 토평 주공 아파트 단지가 있다. 수택동 유물산포지 1은 2005년 육군 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에서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수...
-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유물산포지. 수택동 유물산포지 2는 구리 수택 주공 아파트 단지 서쪽의 검배 근린공원 안에 있으며, 동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곳에 왕숙천이 지나간다. 수택동 유물산포지 2는 2005년 육군 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에서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수택동 유물산포지 2에서는 조...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아치울 유물산포지는 용마 터널 남쪽에 있는 아치울 마을에 조성된 남양 홍씨(南陽洪氏) 묘역 남동쪽의 언덕 및 밭 일대이다. 아치울 유물산포지는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아치울 유물산포지에서는 삼...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기의 유물산포지. 양지말 유물산포지는 인창 공원 안에 있는 어린이 놀이터와 노천 극장 일대이다. 이 지역은 동구릉에서 남쪽으로 약 1.5㎞ 떨어진 곳이며 동쪽으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서쪽으로 43번 국도, 남쪽으로 6번 국도가 지나간다. 양지말 유물산포지는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인창동 베틀고개 유물산포지는 인창동 삼성 래미안 아파트 4단지 서쪽 공터 일대이며, 인접한 북쪽 지역에 북부간선도로가 지나간다. 인창동 베틀고개 유물산포지는 2000년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인창동 베틀고개...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인창동 유물산포지 1은 동구릉 관리 사무소 동쪽에 인접한 언덕 및 평지 일대에 있다. 인창동 유물산포지 1은 일제 강점기 경성 제국 대학의 학자 요코야마 쇼자부로[橫山將三郞]에 의해 조사되었으나 정확한 시점과 위치는 현재 알기 어렵다. 1994년 한신 대학교 박물관이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인창동 유물산포지 2는 동구릉 남쪽의 완만한 언덕 일대이며, 인접한 남쪽 지역으로 북부 간선 도로가 지나간다. 인창동 유물산포지 2는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인창동 유물산포지 2에서는 회백색...
탑
-
경기도 구리시 망우산 1보루 인근에 있는 돌탑. 관룡탑은 '절고개 아래', '큰골', '큰절'이라 불리는 집터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주변에서 얻은 막돌을 차곡차곡 쌓아 올려 만든 적석탑 형식이다. 밑면은 약 11m 정도이고, 높이는 약 13m 정도이다. 민간 신앙 차원의 탑으로 탑 정상에 새 모양의 돌을 얹어 놓았는데, 제주 방사탑의 까마귀 모양...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3층 석탑. 구리 아차산3층석탑은 아차산 남쪽 중턱에서 동북쪽 방향 계곡 위 산지의 넓은 암반 위에 축조되어 있다. 가람의 한 요소이기보다는 석탑 자체가 독립적인 요소로 가람과는 별도의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간략화된 기단부와 탑신부의 치석[돌을 다듬음]과 결구 수법, 옥개석[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의 치석 수...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석탑. 아천동 온달샘 석탑은 현재 기단부와 탑신부 일부만 남아 있어서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지대석(址臺石)의 양식이나 기단 면석의 수법으로 보아 고려 시대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구리시 아차산 고구려 대장간 마을에서 강신샘 약수터 방향 등산로 능선을 따라 대성암 방향으로...
터
-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과 서울특별시 광진구 중곡동에 걸쳐 있는 삼국 시대 또는 조선 시대 유구. 목장지[아차산 장성]는 아차산 능선을 따라 망우리 공원묘역까지 남아 있는 유구(遺構)[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이다. 학자들은 이 유구가 「사복시 살곶이 목장 지도」에 수록된 것을 근거로 조선 시대의 목장지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아차산에 있는 범굴사의 재산을 암벽에 기록한 각명(刻銘). 범굴사 불량권은 신라 시대인 647년(진덕 원) 의상 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범굴사가 고려 말기 이후 정확한 시점을 알 수 없으나 폐사되었다가 1750년(영조 26) 방지성(方智性) 거사에 의해 재건된 후 새겨졌다고 추정된다. 1757년(영조 33)부터 1765년(영조...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아차산에 있는 범굴사의 논밭 거래와 관련된 시주인들의 명단을 암벽에 기록한 각명(刻銘). 범굴사 불량 시주기(梵窟寺 佛粮 施主記)는 범굴사에서 논과 밭을 구입할 때 관련된 사람들의 명단을 암벽에 새겨서 기록한 것이다. 범굴사는 7세기 중반 신라 시대에 창건된 후 어느 시점에 폐사되었다. 이후 18세기 중반에 재건되었지만 임오군란(...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아차산에 있는 절 터.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범굴사 터에는 현재 범굴사가 자리 잡고 있다. 봉은사의 말사로, 670년(신라 문무왕 10)에 의상 대사가 개창했다. 1375년(고려 우왕 1)에 나옹 화상이 중창하여 대성암으로 이름을 바꾸고 수도를 했는데 어느 때인가부터 폐사되었다. 1750년(영조 26) 거사 방지성이 그 자...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아차산 4보루 능선 아래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아차산 절터 1은 잡목이 우거져 있고 한국석유공사 구리지사[K1 기지]의 철조망이 둘러쳐져 있어서 접근이 불가능하여 정확한 사역을 파악하기 어렵다. 절터 길이 약 38m, 높이 25m 규모로 마치 성벽을 연상시키는 중간 축대를 중심으로 위아래에 걸쳐 있다. 절터의 규모는 위쪽 절터...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추정지. 아차산 절터 2 건물지는 남서향을 하고 있는 절터 추정 지역으로, 앞쪽 열에 4개, 뒤쪽 열에 1개 등 모두 5개의 주춧돌이 지면에 노출되어 있다. 주춧돌은 자연석을 약간 손질하여 만든 네모꼴로, 앞쪽 열의 주춧돌 1개가 열에서 어긋나 밑으로 굴러 있는데, 이것은 뒤쪽 열의 주춧돌 하나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아차산 시루봉 보루 방향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추정지. 아차산 절터 3은 아차산 서쪽 비탈면의 높이 100m 지점 평탄지에 있다. 주변에 많은 석재와 토기 조각, 자기 조각, 기와 조각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 후기까지 유지되다가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 주민들에 의하면 40년 전에 김법안 처사, 자비월...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승려들의 다비식을 거행하던 터. 아천동 다비터는 우미내 계곡을 따라 대성암으로 오르는 등산로의 중간쯤 높이 105m 지점에 있다. 열반에 든 승려들의 다비식을 거행하던 곳으로 전해지지만 관련 자료가 부족하다. 주변에 석축 기단으로 쓰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석재들이 놓여 있고 기와 조각과 자기 조각이 발견된 것으로 볼 때 건물이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