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12104
한자 京義中央線
영어공식명칭 Gyeongui Jungangs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진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2014년연표보기 - 경의·중앙선 개통
전구간 경의·중앙선 -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로 94[문산리 17-14] 문산역~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한강로 3가 40-999] 용산역~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역길 21[다문리 736-13] 용문역
해당 지역 경유 구간 구리역 - 경기도 구리시 건원대로34길 32-29[인창동 244-2]지도보기
성격 수도권 전철
길이 118.7㎞[본선]|5.8㎞[지선]
차선 복선

[정의]

경기도 구리시를 통과하는 수도권 전철 문산역~용문역 구간의 철도 노선.

[개설]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을 경유하는 수도권 전철 문산역~용문역 구간의 철도 노선이다. 기존의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선을 통폐합한 노선으로, 노선 색상은 연옥색이다.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직통하며 총 거리는 118.7㎞에 이른다. 중앙선 복선 전철화 사업 이전에도 중앙선 철도가 구리시를 지났지만 기차역이 없어서 정차하지는 않았다. 복선 전철화 사업과 함께 구리역이 개업하였다.

[명칭 유래]

2014년 수도권 전철 용산역~공덕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철도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되어 직결 운행 체제에 들어가게 되었다. 경의선은 원래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역과 북한 평안북도 신의주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지만 2009년 수도권 전철로 편입되어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역 구간이 경의선이라는 명칭으로 개통되었다. 이후 디지털 미디어 시티역~공덕역 구간의 공사에 이어 공덕역~용산역 구간의 공사를 통하여 경의선 구간이 용산역까지 이어졌다.

한편 중앙선은 서울특별시 경원선의 용산역~왕십리역~성북역 구간을 운행하던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국철]이다. 1990년대 중앙선 복선 전철화와 함께 수도권 전철로의 편입이 이루어져, 2005년 청량리역~덕소역 구간이 수도권 전철으로 개통되었고, 이후 용산역~회기역 구간과 회기역~덕수역 구간을 한 운행 계통으로 이은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탄생하였다.

[건립 경위]

경의·중앙선은 경기도 서부권 및 동부권과 서울시 간의 이동 거리를 단축하여 출퇴근 시간을 절약하고 도로 교통에 의존하는 수송량을 분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변천]

2005년 청량리역~덕소역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어 운영되기 시작하였고, 2007년 덕소역~팔당역 구간 개통, 용산역~회기역 개통 등을 통하여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탄생하였다. 한편 2009년 수도권 디지털 미디어 시티역~문산역 복선 전철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었고, 2014년 용산선 공덕역~용산역 구간 개통과 함께 경의선과 중앙선이 하나의 노선으로 통폐합되어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제원]

경의·중앙선의 영업 거리는 본선 118,8㎞, 지선 5.8㎞, 궤간은 표준선 1,435㎜, 선로 수는 2~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철화는 가공 전차선, 가공 강체 가선이며 교류 2만 5000v 60㎐이고 신호 방식은 ATS 방식이다.

[현황]

경의·중앙선은 서로 다른 형태로 운영되던 개별 노선의 직결 운행으로, 서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 있던 경기도 서부권과 동부권이 한 노선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해당 지역과 서울 간의 이동 거리가 단축되었을뿐만 아니라 경기도 서부권과 동부권의 거리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경의·중앙선의 개통과 함께 개업한 구리역은 구리시 중앙을 통과함으로써 도로 교통에만 국한되었던 서울시와 구리시 간 연결을 분담하고 있다.

[참고문헌]
  • 구리시청(http://www.guri.go.kr)
  • 기차역 검색(http://info.korail.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