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32073
한자 九里韓龍雲墓所
영어공식명칭 Guri HanYongun Myo|Tomb of HanYongun
이칭/별칭 만해 한용운 묘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산84-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명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1944년 5월 11일연표보기 - 한용운 묘 조성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879년 8월 29일 - 한용운 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944년 6월 29일 - 한용운 몰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10월 19일연표보기 - 구리 한용운 묘소 국가등록문화재 제51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구리 한용운 묘소 국가등록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구리 한용운 묘소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산84-2지도보기
성격
양식 사성이 있는 봉분
관련 인물 한용운|부인 유숙원
소유자 개인 소유
관리자 한영숙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정의]

경기도 구리시 망우 공원 묘지에 있는 독립운동가이자 승려인 한용운의 묘소.

[개설]

한용운(韓龍雲)[1879~1944]의 본명은 한봉완(韓奉玩)이고,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법명은 용운(龍雲), 법호는 만해(萬海 ·卍海)이다. 아명은 유천(裕天), 본명은 정옥(貞玉)이다.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면서 승려 시인이다. 불교를 통한 언론, 교육 활동을 하였다.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 참여를 주장하였으며, 그것에 대한 대안점으로 불교 사회 개혁론을 주장했다. 3·1 운동 당시 민족 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독립 선언서」의 '공약 3장'을 추가 보완하였다.

[위치]

망우 공원 관리 사무소 순환로에서 좌측 구리시 방향으로 오르막길을 오르면 동락천 약수터 입구에서 위쪽으로 방정환 연보비가 보인다. 방정환 연보비에서 5분 정도 걸으면 팔각정이 있으며 좀 더 올라가면 왼쪽에 한용운 연보비가 있다. 묘지 입구 표석이 보이는 계단을 올라가면 한용운과 부인 유숙원 묘가 나란히 있다[묘지 번호 204411].

[형태]

구리 한용운 묘소는 사성(莎城)[무덤 위에 반달모양으로 둘러막아 쌓은 둑]이 있는 봉분으로 2기의 묘가 나란히 조성되어 있다. 한용운 묘 옆에 비갓을 올린 비석이 있고 두 봉분 사이에 상석과 화병석이 있다.

[금석문]

비석 전면에는 '만해한용운선생묘 부인 유씨재우(萬海韓龍雲先生墓, 夫人兪氏在右)'라고 써 있다.

비석 후면에는 '약전, 4212년 기묘 팔월 이십구일(음칠월 십이일) 충남 홍서군 결성면 성곡리 한응준의 차남으로 출생. 본관은 청주. 모는 온양 방씨. 4220년 향숙에서 경사를 수학, 4238년 백담사 연곡화상에게서 득도, 4243년 한일불교 동맹 조약을 분쇄철폐, 4244년 만주에 망명 독립운동, 4246년 조선불교유신론을 발행, 4247년 불교대전을 발행, 4250년 정선 강의 채근담을 발행, 4250년 십이월 오세암에서 선정중 오도, 4251년 월간교양잡지 유심을 창간, 4252년 3·1운동을 선도하고 행동강령으로 공약삼장을 공표, 옥중에서 독립의 소신을 장문으로 발표 3년형을 받음, 4256년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지원, 4257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직하고 총재에 취임. 4259년 십현담주해 및 님의 침묵을 4264년 불교지를 인수 편집발행인 취임, 4266년 성북동에 심우장을 건축하고 흑풍 등의 소설과 다수의 문장을 발표. 4276년 조선학병지원을 반대. 4277년 6월 이십구일(음 오월 9일) 심우장에서입적 세수 육십육 법랍 삼심구, 4295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여, 만해사상연구회 식, 안동 김응현 서(略傳, 四二一二年 己卯 八月 二十九日(陰七月 十二日) 忠南 洪城郡 結城面 城谷里 韓應俊의 次男으로 出生. 本貫은 淸州. 母는 溫陽 方氏, 四二二〇年 鄕塾에서 經史를 修學, 四二三八年 百潭寺 蓮谷和尙에게서 得度, 四二四三年 韓日佛敎 同盟 條約을 粉碎撤廢, 四二四四年 滿洲에 亡命 獨立運動, 四二四六年 朝鮮佛敎維新論을 發行, 四二四七年 佛敎大典을 發行, 四二五〇年 精選 講義 菜根譚을 發行, 四二五〇年 十二月 五歲菴에서 禪定中 悟道, 四二五一年 月刊敎養雜誌 惟心을 創刊, 四二五二年 三·一運動을 先導하고 行動綱領으로 公約三章을 公表, 獄中에서 獨立의 所信을 長文으로 發表 三年刑을 받음, 四二五六年 民立 大學 設立 運動을 支援, 四二五七年 朝鮮佛敎靑年會를 組織하고 總裁에 就任, 四二五九年 十玄談註解 및 님의 沈黙을 四二六四年 佛敎誌를 引受 編輯發行人 就任, 四二六六年 城北洞에 尋牛莊을 建築하고 黑風 等의 小說과 多數의 文章을 發表. 四二七六年 朝鮮人學兵志願을 反對.,四二七七年 六月 二十九日(陰 五月 九日 ) 尋牛莊에서 入寂 世壽 六十六 法臘 三十九, 四二九五年 大韓民國 建國勳章 大韓民國章 授與, 萬海思想硏究會 識, 安東 金應顯 書)'고 쓰여 있다.

연보비 전면에는 "萬海 한용운 선생(1879~1944, 독립운동가, 시인) 한 민족이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지 않으려는 것은 인류가 공통으로 가진 본성으로써, 이 같은 본성은 남아 꺾을 수 없는 것이며 또한 스스로 자기 민족의 자존성을 억제하려 하여도 되지 않는 것이다-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중에서"라고 쓰여 있다.

[현황]

한용운 묘소는 두 번째 부인 유숙원 묘와 같이 조성되어 있고, 부인 유씨와의 사이에 출생한 딸 한영숙이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용운의 애국 정신을 기릴 수 있는 역사적·교육적 가치가 큰 곳으로 2012년 10월 19일 국가등록문화재 제51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