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885 |
---|---|
한자 | 行政 |
영어공식명칭 | Public Administr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노인만 |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공공 문제해결 및 공공서비스의 생산, 분배와 관련된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활동.
[개설]
경상북도 청송군의 행정 행위는 「대한민국 헌법」을 비롯하여 「지방자치법」 등의 법령, 청송군 조례·규칙, 그리고 예산 등의 행정 규범에 따라 수행되고 있다.
[행정구역 연혁]
지금의 경상북도 청송군은 조선시대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와 진보현(眞寶縣)을 개편한 것이다. 청송도호부는 조선 초기까지 있었던 청부현(靑鳧縣)과 송생현(松生縣)이 1423년(세종 5) 통합되어 청송군이 되었다가, 1459년(세조 5) 청송도호부로 승격된 것으로 안덕현(安德縣)을 속현으로 두고 있었다. 청부현(靑鳧縣) 지역은 삼국시대 고구려의 최남단 영토로 신라와 접경하고 있었는데, 고구려는 이곳에다 청기현(靑己縣)을 설치하였다. 이후 청기현은 신라에 편입되었고, 757년(경덕왕 16) 적선현(積善縣)으로 개칭되어 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일대인 야성군(野城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 초 적선현은 부이현(鳧伊縣)·운봉현(雲鳳縣)으로 개칭되었다가, 986년(성종 5)에 청부현이 되었다. 이어 1018년(현종 9) 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일대인 예주(禮州)의 속현이 되었다. 1390년(공양왕 2) 처음으로 지방관인 감무(監務)가 청부현에 파견되었다. 이어 청부현은 1394년(조선 태조 3) 옛 진보현인 보성부(甫城府)에 이속되었는데, 보성부는 1413년(태종 13) 진보현으로 이름을 고쳤다. 그리고 1418년(세종 즉위년) 소헌왕후 심씨의 본향이라 하여 청부현과 진보현을 합하여 청보군(靑寶郡)이 되었지만, 1423년 다시 분리되어, 청부현은 송생현과 통합하여 청송군이 되었다.
송생현 지역은 신라의 소량현(召良縣)이었다고 하나, 당시 연혁은 명확하지 않다. 757년 송생현으로 개칭되어 야성군의 영현이 되었고, 1018년 예주의 속현이 되었다. 1143년(인종 21) 감무가 파견되어 독립하였으며, 1394년에는 안덕현을 속현으로 편입시켰다. 그리고 1423년 청부현과 합쳐져 청송군이 되었다.
안덕현은 본래 신라의 이화혜현(伊火兮縣)으로 757년 연무현(緣武縣)으로 개칭되어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일대인 곡성군(曲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안덕현으로 이름을 고쳤고, 1018년(현종 9)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인 길주(吉州)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가, 1390년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지만, 1394년 송생현에 병합되었다. 1423년 송생현이 청부현과 합쳐져 청송군이 됨으로써 안덕현은 청송군의 속현으로 두어졌다.
진보현은 삼국시대 칠파화현(漆巴火縣)이었는데, 757년 진보현으로 개칭되면서 지금의 경상북도 의성군인 문소군(聞韶郡)의 영현이 되었다. 그 뒤 고려 전기 진안현(眞安縣)과 합쳐져 보성부가 되었는데, 진안현은 고구려의 조람현(助攬縣)이 경덕왕 때 개칭되어 야성군의 영현으로 있던 곳이다. 보성부는 1018년 예주의 속부(屬府)가 되었다. 조선 초기인 1394년 비로소 감무가 파견되었으며, 1413년(태종 13)에 진보현으로 개칭하였다. 1418년 청부현과 합쳐져 청보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423년 다시 분리되었다.
청송도호부와 진보현은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으로 각각 청송군과 진보군(眞寶郡)이 되었다가, 1914년 부령 제111호로 부·군·면 통폐합이 이루어져 청송군이 진보군 일부를 합병하여 8면이 되었다.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따라 현서면(縣西面) 3개 동[복동·덕성동·성재동]이 안덕면(安德面)에 편입되었다. 1979년 5월 1일 청송면(靑松面)이 청송읍(靑松邑)으로 승격되어 현재 1읍 7면에 이르고 있으며, 1983년 2월 15일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일부인 흥구동과 방전동이 진보면에 편입되었다.
1987년 1월 1일 행정구역 경계 조정[주왕산면 상평1리가 부남면 감연1동에 편입] 후 1988년 5월 1일 군 조례 제1059호로 동(洞)을 리(里)로 개칭하였다. 1993년 12월 30일부터 군 조례 제1377호에 따라 청송군청 소재지를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군청로 51[월막리 330]에 두고 있다.
[행정 현황]
1. 행정조직 및 공무원 현황
경상북도 청송군의 행정조직을 살펴보면, 2018년 3월 현재 본청은 1실[기획감사실], 10과[미래전략과·주민생활지원과·총무과·재무과·문화관광과·농산업과·종합민원과·환경산림과·안전재난건설과·새마을도시과], 57담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직속기관으로 보건의료원과 농업기술센터를 두고 있다.
사업소는 1사업소[종합시설관리사업소] 3담당이다. 읍면 조직은 1읍[청송읍] 7면[주왕산면·부남면·현동면·현서면·안덕면·파천면·진보면] 29담당이다. 청송군의 의회 조직은 1과 1담당[의회사무과, 의사 담당]과 전문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원 정원은 7명[의장 1명, 부의장 1명 포함]이며, 의회사무과 직원은 11명이다. 청송군의 공무원 정원은 본청, 의회사무처, 직속기관, 사업소, 읍·면사무소 모두 포함하여 519명이다.
2. 재정 현황
2018년도 청송군의 예산 총액은 3088억 원이며, 지난해 당초 예산 3044억 7900만 원보다 43억 2100만 원[1.42%]이 증가되었다. 일반회계는 2803억 5300만 원, 기타 특별회계는 284억 4700만 원이다. 세입 예산은 자체 수입[지방세·세외수입] 209억 3800만 원, 의존 수입[지방교부세·조정교부금·국고보조금 및 보전수입 등 내부 거래] 2878억 6200만 원이다.
세출 예산은 농림해양수산 분야에 663억 47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사회복지 분야에 519억 1900만 원, 환경보호 분야에 395억 4500만 원, 문화 및 관광 분야 289억 800만 원, 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에 144억 2400만 원, 일반 공공행정 분야에 205억 800만 원, 기타 분야에 431억 7900만 원 등을 편성하여 농업 발전과 군민복지 분야에 역점을 두고 있다.
[청송군 주요 군정]
2018년 청송군의 군정 비전은 “군민과 함께하는 행복 청송”이며, 군정 목표는 ‘1) 희망가득 부자 농업, 2) 행복나눔 맞춤 복지, 3) 품격높은 문화 관광, 4) 살맛나는 지역 경제, 5) 군민감동 열린 군정’이다.
또한, 청송군은 7대 전략과제를 두고 있는데, 첫 번째는 ‘지속가능한 미래농업 육성’, 두 번째는 ‘모두가 행복한 맞춤형 복지 구현’, 세 번째는 ‘미래를 디자인하는 명품 인재 육성’, 네 번째는 ‘주민이 참여하는 수익형 관광모델 구축’, 다섯 번째는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경제 창출’, 여섯 번째는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일곱 번째는 ‘소통과 화합의 열린군정 실현’이다.
[평가]
청송군은 휴양생태관광도시이며, 청송사과와 청송사과축제는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6년 연속 대상 수상과 경상북도 5년 연속 최우수 축제로 지정되는 등 최고의 브랜드 이미지를 쌓아 나가고 있다. 최근 상주-청송-영덕간 고속도로 개통과 문화관광 기반 산업과 농업의 6차 산업화를 통해 지역주민의 복리 증진을 위한 행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