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도』(16층 13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12027
한자 靑邱圖(一六層一三版)
영어공식명칭 Cheonggudo(16cheung 13pa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손승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34년(순조 34)연표보기 - 『청구도 간행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저자 김정호

[정의]

1834년 김정호가 제작한 지도인 『청구도』 중 현재의 구리시 지역을 포함하는 경기도 양주목 일대를 그린 지도.

[개설]

『청구도』는 축척이 동일한 고지도 가운데 가장 정밀하게 제작되었으며, 이후에 제작된 『대동여지도』의 기초가 된 채색 필사본이다. 『청구도』(16층 13판)에는 한강을 사이에 두고 한강 이남의 경기도 광주 일대와 한강 이북의 경기도 양주 일대가 포함되었으며,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도 확인할 수 있다.

[편찬/간행 경위]

김정호가 전국의 지도를 제작하던 과정에서 만들어 낸 중간 단계의 결과물로서, 현재 전해지는 것은 후대의 필사본이다.

[서지적 상황]

지도책의 앞부분에는 최한기가 작성한 「청구도제(靑邱圖題)」가 있고, 그 뒤를 이어 지도 제작자인 김정호가 쓴 범례(凡例)와 「지도식(地圖式)」, 「도성도(都城圖)」, 「팔도 주현도(八道州縣圖)」를 포함하고 있다. 부록으로 「신라 구주 군현 총도(新羅九州郡縣總圖)」, 「고려 양계 지도(高麗兩界地圖)」, 「본조 팔도 성경 합도(本朝八道盛京合圖)」 등을 싣고 있다.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다.

[형태]

『청구도』는 현존하는 고지도 중 크기가 가장 크며, 축척이 약 21만 6000분의 1에 달한다. 지도의 전체 크기는 가로 4.62m, 세로 8.70m인 전국 지도이며, 각 책의 크기는 가로 21.5㎝, 세로 31.5㎝로 이루어져 있다. 전국을 남북으로 29층, 동서로 22판으로 구분하여 방안의 형태로 눈금을 나누어 그렸다. 방안 하나는 남북이 100리, 동서가 70리이며, 개별 지도의 우측과 상단에 각각 10칸과 7칸으로 구분선을 표기해 놓았다.

[구성/내용]

『청구도』 군현의 명칭은 세로로 길고 큰 사각형을 통해 정보를 통일하였고 그 안쪽에 고유 명칭을 포함시킴으로써 다른 군현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로는 붉은색 실선으로 표시하였고 하천은 푸른색으로, 산지는 옅은 흑색을 사용하여 묘사하였다. 구리시의 동쪽을 흐르는 왕숙천왕산탄(王山灘)으로 기록되어 있다. 아차산 서쪽의 마장(馬場)에서 망우리 고개를 넘어 지금의 구리시를 지나 경기 동부 지방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왕숙천 건너편의 평구역(平邱驛)에서 두 갈래로 분기한다.

현재의 구리시 일대는 서쪽으로 산줄기가 뻗어 있으며 구리시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구지면과 망우면, 고양주면의 행정 구역 명칭이 표기되어 있다. 동구릉 일대에는 강릉(康陵), 건원릉(健元陵), 팔릉(八陵)이 함께 기록되어 있으며, 동구릉 건설에 사용된 장비를 보관하던 창고였던 동창(東倉)이 표기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 제작된 다른 지도에서는 왕숙천의 동쪽에 독음면(禿音面)이 표기된 경우가 일반적인데, 『청구도』에서는 왕숙천의 서쪽인 현재의 구리 땅에 독음면을 위치시킨 점이 특징적이다.

[의의와 평가]

『청구도』는 천문 관측에 의해 정해진 경위도의 개념에 근거하여 방위를 표시하였고, 지도 구성에서 방격을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이전에 제작된 지도와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들이 『청구도』가 조선에서 가장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잘 활용한 지도임을 보여 준다. 19세기 전반 경기도 구리시 일대의 역사와 지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