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명촌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1253
한자 正明村記
영어의미역 Literary Work of Jeongmyeong Village Written by Yi Sanha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갑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문(記文)
작가 이산해(李山海)[1539~1609]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중기

[정의]

조선 중기 이산해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에 유배되어 있을 때 정명리에 사는 황응청과 나눈 대화를 기록한 글.

[개설]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1539~1609]는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조카이며 이지번(李之蕃)의 아들로 대북파의 영수로 활약한 수상이다. 1592년(선조 25) 대관(臺官)의 탄핵을 받아 중도부처(中途付處)의 형을 받고 기성면 황보리에 5년간 정배(定配)되었다.

유배 생활 중 정명리(正明里)에 사는 대해(大海) 황응청(黃應淸)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그와의 대화에서 큰 깨달음을 얻었다. 「정명촌기」이산해황응청과 학문을 토론하다가 그가 일러준 교훈을 잊지 않으려고 남긴 글로서, 『아계유고(鵝溪遺稿)』권3, 「기성록(箕城錄)」 잡저(雜著)에 실려 있다. 현재 평해황씨 해월종택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정명촌기」이산해황응청과 대화한 글로서 동(動)·정(靜)·득(得)·실(失) 등에 대해 문답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산해「정명촌기」의 말미에 “대해의 말에 감복하고 시일이 지나 혹 잊어버릴까 염려하여 그와 문답한 말을 기록하여 「정명촌기」로 삼아 때로 살펴보면서 자성하고자 한다”고 밝혀 두었다.

[의의와 평가]

「정명촌기」는 조선 중기 8대 문장가로 알려진 이산해월송정 북쪽으로 15리 떨어진 정명촌에 대해 쓴 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산해와 울진, 그리고 그의 벗 황응청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