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소광리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은 금강송이다. 일제시대 광산으로 60년대 화전민촌으로 그리고 80년대 이후 산간오지로 알려졌던 이곳은 2000년 이후 일제히 금강송으로 다시 한번 더 주목을 받고 있다. 금강송이 자리 잡고 있는 대광천을 마을 사람들은 큰빛내라고 부르기도 한다. 처음 이곳에 화전민촌이 생기고 광산이 생겼을 때 마을 사람들은 빛나는 동네라 하여 그 이름을...
일제강점기 일본이 벌목에 불을 켰던 금강송은 일찍이 조선에서도 보호하고자 노력했던 소나무 중 하나였다. 그 흔적으로 소광리에서 금강송 숲에 들어가기 전 약 2㎞, 지점인 광천 왼쪽에 황장봉계표석이 있다. 이는 금강송의 우수함이 잘 알려져 있어 궁궐이나 국가의 주요한 건물을 지을 때 이외에는 사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금강송이 있는 황장봉산의 경계를 표시한 자리가...
금강송 숲은 모두 감상하는 데에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입구에서부터 시작된 길 양쪽 금강송들은 그 길을 지나는 것만으로도 위압감을 느끼게 하며, 간간히 보이는 하늘은 또 한번 이곳이 과연 한국인가 하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 저절로 시간이 멈춰진 듯 이곳에서는 세상 속에서 연신 울려대던 핸드폰마저 울리지 않아 그 적막감을 더하지만, 이곳이 정말 사색의 공간이요 생명의 공간임을 한...
금강송 군락지를 올라가기 전 누군가가 검은색 명부를 들고 쫓아온다. 의아하게 생각하면서 돌아서면 이내 산림청 소속의 모자를 쓰고 온 그는 일명 ‘숲해설가’이다. 1998년 자연환경안내자 과정을 이수한 교육생들이 자연환경안내자협회를 모태로 설립된 것으로 숲의 가치와 소중함을 알리고 자연 친화적인 가치관과 생활양식을 함양하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숲의 보존과 이용을 알리고 숲을 찾...
일제강점기에 수차례 이루어진 벌목에서도 살아남은 금강송을 지켜온 사람들은 소광리 마을 사람들이다. 예전부터 소광리 사람들은 산불이 많이 나는 3월과 5월 사이 금강송 숲 일대에 산불이 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감시하였는데 이를 ‘불보러 다닌다’라고 하였다. 과거 마을 사람들이 불을 보러 다니는 터를 ‘불당터’라 부르는데, 이곳은 잿말의 너불한재 꼭대기로서 500년된 노송에 이르기까지...
소광1리 후곡동에 수원백씨들이 처음 마을에 터를 잡을 때 모셨다고 하는 이곳의 동목은 금강송이다. 소광2리에서 대광천 갈라지는 삼거리에 위치한 동목을 마을 사람들은 ‘할배’라 부른다. ‘당신위 할배’는 이곳에서 가장 흔한 금강송이며 그 모양새가 곧은 좋은 나무로 선정이 되었으며, 산신과 성황, 그리고 수부를 모두 칭하는 세 그루의 나무가 택해졌다. 현재 주변 작은 나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