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1472 |
---|---|
영어음역 | Motchigi |
영어의미역 | Striking Spikes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
집필자 | 여수경 |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추수가 끝난 겨울 논이나 밭에서 남자 아이들이 주로 행하는 놀이.
[개설]
못치기는 쇠못이나 나무·대나무 못을 땅에 꽂거나, 꽂힌 못을 쓰러뜨려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두 명 또는 여러 명이 어울려 할 수 있는 놀이로, 겨울철 벼 베기가 끝난 빈 논이나 무른 땅바닥이 있는 곳에 못을 쳐서 다양한 방법으로 승부를 가린다.
[연원]
쇠못과 나무못 가운데 어느 것이 먼저 사용되었는지는 기록이 없어 알 수가 없다. 오늘날 못은 일반적으로 쇠못을 의미하지만, 그 본래의 뜻은 쇠나 대나무, 단단한 나무 등으로 가늘고 끝이 뾰족하게 만든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못을 가지고 집을 짓거나 생활용구를 만들어 쓰기 시작하면서부터 이 놀이가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놀이도구 및 장소]
못으로 금을 그을 수 있는 공간과 큰 대못 여러 개가 필요하다. 못치기에 사용되는 못은 길이가 10㎝ 정도 되는 대못이고, 나무로 깎아서 만든 못일 경우 30㎝ 정도의 긴 것을 사용한다. 이 놀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별된다. 한 가지는 상대방 못을 따먹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못이 박히는 지점과 지점을 연결하여 상대방이 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식인데, 이때는 따먹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겨루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놀이방법]
놀이에 참가하는 아이들이 편을 나누고 여러 개의 대못을 준비한 후 땅에 금을 긋는다. 각각의 편은 금을 그은 곳에 서서 못을 던져 꽂는데, 못이 꽂히면 금과 못이 꽂힌 점을 서로 연결하는 선을 긋는다. 이때 못이 꽂히지 않거나 금을 넘어가지 못한다면 상대편에게 순서가 넘어간다. 각 편이 번갈아가며 못을 던진 후 더 이상 못을 꼽을 수가 없게 되면 경기는 종료되고 던져서 꽂은 개수와 꽂지 못한 개수를 확인해서 점수를 합산한 후 진편은 이긴 편에게 못을 하나씩 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못치기는 주로 추운 겨울날 논이나 밭에서 즐기는 놀이이다. 못을 내리쳐 꽂아야 하기 때문에 어깨의 힘과 목표물을 적중시키는 조정력이 길러질 뿐 아니라, 추운 겨울 놀이이기 때문에 추위를 이기는 힘도 키우게 된다.
[현황]
과거에는 장난감을 구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에 못치기는 아이들에게 재미있는 놀이였다. 특히 못이 귀하던 1980년대 초까지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던 놀이였다. 요즘은 다양한 놀이가 생겨나면서 재미가 없어지자 자연스럽게 사라진 놀이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