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1597 |
---|---|
한자 | 搜討奇談 |
영어의미역 | Weird Story of Ulleungdo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은희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전해오는 울릉도에 관한 신비한 이야기.
수토기담의 내용은 울릉도와 관련된 것으로 이루어졌으나, 구전되는 장소는 울진군이다. 향유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울릉도에 대해 신비함을 주기 위한 의도적인 이야기일 수도 있다.
2001년 울진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울진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경상북도 울진군에는 1896년 갑오경장 이전까지 첨사가 파견되어 삼척의 영장이나 월송 만호를 겸임하여 3년에 한 번씩 주민들을 지키기 위해 반란자나 도둑을 토벌하러 왔다. 토벌하러 올 때에는 의식을 장엄하게 갖추어 구산동사에서 바람을 기다리는데, 순풍을 만나면 동북간에서 출발하면 이틀 후에 울릉도에 닿을 수 있었다고 한다.
한때 평해군수가 수탐(搜探)하기 위해 울릉도에서 들어갔다가 용무를 끝마치고 다시 배를 타고 섬을 떠나려고 하는데, 담뱃대를 숙소에 두고 온 것을 알았다. 군수는 사환을 시켜 숙소에 있는 담뱃대를 찾아오게 하였더니, 오랜 시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군수는 다시 졸병을 시켜 찾아오게 하였다. 그런데 그 졸병 역시 돌아오지 않아 사방으로 찾아도 행적을 알 수 없었다. 군수는 어쩔 수 없이 담뱃대를 찾지 못하고 배를 타고 돌아갔다.
3년 후에 군수가 다시 울릉도로 수토하러 갔더니 담뱃대를 찾으러 가서 사라진 사환을 만났다. 그 사환은 군수에게 뜻밖에 담뱃대를 주는 것이었다. 군수는 잃어버렸다고 생각한 담뱃대를 찾아 기쁘기도 하지만 놀랍기도 하였다. 군수는 사환에게 그동안의 일을 물어보았다. 사환은 군수가 놓고 간 담뱃대를 찾아가지고 성황사가 있는 길을 지나가는데 갑자기 한 소녀가 나타나서 사환의 허리를 안고 놓아주지 않더라는 것이었다.
결국 그 소녀와 함께 동거한 지가 어언 3년이 되어 간다고 했다. 그 사환은 수국이 대륙보다 생활하기 편하다고 하며 담뱃대를 돌려주고는 갑자기 사라져버렸다. 군수는 정신이 어질어질하여 사람인지 귀신인지 분별할 수 없을 정도로 한숨을 쉬다가 옛날 잃어버렸던 담뱃대를 찾아가지고 돌아왔다는 이야기이다.
「수토기담」의 모티프는 군수의 담뱃대를 찾으러 간 두 명의 남성이 돌아오지 않아 결국 두 사람을 두고 배는 떠났으나, 3년 후에 다시 찾은 울릉도에서 그 사환을 다시 발견한다. 사환이 배로 돌아오지 못한 것은 그 섬에 사는 소녀 때문이라고 하지만, 결말 부분에서 신비감을 주고 있다.